[정치] “윤, 구질구질한 스타일 아니다…임기 연연해 하지 않아”
-
1회 연결
본문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헌법재판소 법정에서 최후진술을 한다. 탄핵심판을 받는 대통령이 법정에서 직접 최후진술을 하는 건 헌정 사상 처음이다. ‘운명의 날’을 맞는 윤 대통령의 심경과 관련, 윤 대통령의 최측근은 “워낙 민감해서 말 한마디, 단어 하나, 글자 하나조차도 조심스럽다”고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이 측근은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윤 대통령을 접견하는 변호인단 중 한 명이다. 이 측근은 지난 22일 구치소를 찾아 윤 대통령과 최후진술에 관해 논의한 직후 중앙일보와 전화 인터뷰를 했다.
- 탄핵이 기각돼야 한다는 대통령 생각에는 변함이 없나.
- “당연하다. 대통령은 자신이 탄핵당할 만큼 잘못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부도덕했나? 권력을 탐했나? 그렇지 않다. (윤 대통령이) 탄핵에 주관적 거부감이 있다.”
- 옥중 근황은 어떠한가.
- “의연하고 담담하다. 갇혀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분노와 화를 참고 있다.”
- 최후진술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고 있나.
- “그렇다. 최후진술은 원고를 토대로 법정에서 대통령의 입장과 생각을 정리해서 발표하는 거다. 이런저런 의견들이 대통령께 전달돼 있고, 그 가운데 당신이 고민해서 직접 고치고 다듬지 않겠나.”
- 우호적인 여론을 만들기 위해 임기 단축 등 파격적인 방안을 제시하나.
- “글쎄, 어떤 얘기를 하면 (탄핵심판에) 플러스가 되냐, 마이너스가 되냐 하는 게 제일 중요하다. 이런 부분을 놓고 (윤 대통령과 변호인단이) 막상 논의하면 (의견이) 나뉘더라. 유리한 결론, 즉 탄핵 기각에 도움이 되고, 우리 지지자들이 흩어지지 않느냐 하는 부분이 참 어렵더라.”
- 계엄의 불가피성, 사회적 혼란에 대한 사과 등이 언급되나.
- “짐작할 수 있는 얘기는 담기겠지… 계엄은 뭘 해보려 해도 도대체 안 되니까, 일 좀 하게 해달라는 거였다. 얼마나 (야당이) 깽판을 쳤나, 언론은 그런 패악질을 제대로 견제 내지는 비판하지 않아 그런 건 온데간데없고 마치 대통령만 이상한 일을 한 사람처럼 돼버렸다. 그런 부분을 충분히 얘기할 것이다.”
- 기각될 경우 직무에 복귀해 어떤 일을 하겠다고 약속하나.
- “남은 기간의 정치 일정이랄까, 복귀 후 앞으로의 구상을 얘기한다. 어떤 큰 틀에서 방향을 제시하지, 구체적으로 어떤 워딩을 할지 등은 내가 지금 언급하기가 조심스럽다.”
- 하야설이 돌았다.
- “윤 대통령이 하야하는 일은 없다. (야당의) 사악한 상상력이자 희망사항이다.”
- ‘질서 있는 조기 퇴진설’, 즉 임기 단축을 꺼낼 수 있다는 관측이 있다.
- “(윤 대통령은) 구질구질한 스타일은 아니다. 이미 속내를 내비친 적이 있다. 윤 대통령이 이미(1월 15일) 체포영장이 집행되기 직전 ‘나라가 위기인데 2년반을 더 해서 무엇하겠느냐’고 말씀한 적이 있지 않으냐. 당시 아무도 이 말을 진지하게 듣지 않았다. 임기에 연연해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국가적 혼란에 대해 책임지겠다는 생각이다.”
조기 퇴진과 개헌이 최후진술에 담기는지 다시 물었다. 이 측근은 “모르겠다”고 했다. “아니다”라고 딱 잘라서 부정하지 않았다. 최후진술에 조기 퇴진과 개헌을 언급할 수 있다는 뉘앙스로 들렸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