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 버스·지하철·따릉이·한강버스 하나로…'GO SEOUL' 출…

본문

버스와 지하철, 공공자전거 따릉이, 한강버스 등 서울의 교통수단을 상징하는 통합브랜드가 출범한다. 서울의 대중교통수단을 하나로 묶는 브랜드를 만들어 이동 편의를 높이고 도시미관도 정돈해 ‘디자인도시 서울’의 위상과 가치를 높이겠다는 취지다.
 서울시는 서울 대중교통의 가치와 정체성, 독창성을 담은 통합브랜드 ‘GO SEOUL(고 서울)’을 24일 선보였다. 교통수단을 브랜드화한 것은 서울시가 전국 최초다.
시는 역동적이고 활기찬 도시 분위기와 시민의 편리한 이동을 상징하는 ‘GO’를 핵심 키워드로 선정하고, 여기에 기후동행카드에서 활용하던 무한대 기호(∞)를 결합한 디자인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17404284263055.jpg

오세훈 서울시장이 24일 서울시의 대중교통 통합브랜드를 발표하고 있다사진 서울시

서울시 측은 “GO와 무한대 기호(∞)를 콜라보해 서울 교통이 끊임없이 연결되고, 지속해서 발전한다는 의미는 물론 현재와 미래를 잇는다는 뜻을 담았다”고 밝혔다. 통합브랜드에는 전문가 의견과 시민 1000명을 설문조사 결과 등을 녹여 넣었다. 영국 런던(라운델)과 프랑스 파리(RATP) 등도 교통시스템 통합브랜드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높이는 것은 물론 도시의 대표 아이콘 중 하나로 활용 중이다.

‘GO SEOUL’ 브랜드의 적용 대상은 기후동행카드로 탑승 가능한 버스, 지하철, 따릉이, 한강버스다. 버스에는 ‘GO BUS’, 지하철에는 ‘GO METRO’식으로 변용돼 적용된다. 시는 이 브랜드를 각 교통수단은 물론 버스 정류소, 지하철역 출구, 한강버스 선착장, 따릉이 대여소 등에 순차적으로 부착할 계획이다.

17404284264561.jpg

교통수단 통합브랜드 체계. 기후동행카드는 물론 각 대중교통 별 사업 홍보시에도 적용된다. 사진 서울시

올해는 우선 대ㆍ폐차에 따른 신규 버스와 상반기 운행을 목표로 추진 중인 한강버스에 이 브랜드를 적용하기로 했다. 2026년까지 지하철을 비롯한 모든 대중교통 수단에 통합브랜드가 적용될 전망이다. 다만 이미 별도의 이름이 있는 따릉이와 한강버스는 기존 브랜드와 병기해 일관성을 유지하기로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미 기후동행카드로 익숙한 무한대 기호를 활용해 대중교통 시스템을 하나의 브랜드로 상징화하는 작업이 이뤄졌다"며 "이 로고만 보면 바로 대중교통과 연계되는 장소인 것을 알게 돼 이용 편의성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도시미관을 정돈하는 효과도 있어 서울의 디자인 경쟁력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63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