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해외서 리콜된 제품 국내 유통 지난해 1336건 차단

본문

17404342938421.jpg

서울시 관계자들이 지난해 11월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해외 온라인 플랫폼 안전성 조사 부적합 제품을 공개하고 있다. 테무·알리익스프레스 등에서 판매 중인 아동용·유아용 동절기 섬유제품 26개 제품을 대상으로 유해 화학물질 검출 여부, 내구성 항목을 검사한 결과 7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 카드뮴 등 유해 물질이 국내 기준치를 초과했다. 뉴스1

해외에서 안전성 문제로 리콜된 제품이 국내에서 유통·판매되는 사례가 해마다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의 국내 유통 현황을 점검해 1336건을 차단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중 577건은 최초 적발된 사례이고, 759건은 재유통되다 시정 조처된 경우다.

최초 적발된 577건을 품목별로 보면 음식료품이 155건(26.9%)으로 가장 많았고, 가전·전자·통신기기 149건(25.8%), 아동·유아용품 84건(14.6%) 순이었다.

품목별 리콜 사유를 보면 음식료품의 경우 유해 물질 및 알레르기 유발 성분 함유가 89건(57.4%)으로 가장 많았다. 이물질 함유 28건(18.1%), 부패·변질 25건(16.1%) 등이 뒤를 이었다. 가전·전자·통신기기는 전기적 요인(40건·26.8%)이 주를 이뤘으며, 아동·유아용품은 부품 탈락, 삼킴, 질식 위험에 따른 리콜(32건·38.1%)이 가장 많았다.

577건 중 제조국 정보가 확인된 305건을 국가별로 보면 중국산 제품이 191건(62.6%)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산이 33건(10.8%)으로 뒤를 이었다. 중국산 제품은 가전·전자·통신기기 리콜 건수가 85건(44.5%)으로 절반에 육박했고, 아동·유아용품 46건(24.1%), 생활·자동차용품 28건(14.7%) 등도 적지 않았다. 미국산은 생활화학제품(10건), 가전·전자·통신기기(6건), 음식료품(5건) 등의 순이었다.

해외 리콜 제품의 국내 유통 차단 건수는 2022년 807건, 2023년 986건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1336건으로 2023년보다 35.5% 늘었다.

대부분은 오픈마켓의 구매대행이나 전문 구매대행 사이트를 통해 유입됐다. 특히 지난해에는 중국계 알리 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해외 직접구매(직구) 플랫폼의 거래가 급증하면서 해외 리콜 제품이 국내에 유통·재유통되는 경로가 다양해졌다고 소비자원은 지적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원은 해외직구 플랫폼을 집중 모니터링 대상으로 포함하고, '해외 위해물품 관리 실무협의체'에 참여하는 정부 유관기관과 협력해 시장 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다.

소비자원은 해외직구나 구매대행을 통해 제품을 구입할 때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이나 소비자24에서 리콜된 제품인지 반드시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66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