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 사전투표지 외부서 위조? "잉크·재질 보니 위조 아니다"
-
1회 연결
본문

지난 18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에서도 부정선거 의심 증거로 등장한 ‘붙어 있는 자석 투표지’는 정전기 때문이라고 신수정 교수가 감정했다. 신 교수는 “두 장을 뗐을 때 손상이 없었고 분석 이후 다시 저절로 붙어 있었다”고 설명했다.
부정선거론자들이 ‘일장기 투표지’ 다음으로 많이 거론하는 의혹이 ‘신권다발 투표지’다. 21대 총선 연수을 선거무효소송 재검표에서 사용하지 않은 지폐처럼 보이는 투표지 묶음이 발견되면서 ‘신권다발’이란 이름이 붙었다. 황교안 전 국무총리는 “4·15 총선 재검표장에서 빳빳한 신권다발 투표지를 내 두 눈으로 똑똑히 봤다. 부정선거라고 확신하는 증거”라고 주장한다. 접힌 흔적도 없는 ‘빳빳한’ 투표지는 외부에서 비정상적으로 찍어내 유입된 투표지일 테니 선거 조작의 명백한 증거라는 것이다. 과연 그럴까.

신수정 충북대 목재종이학과 교수가 지난 19일 충북대 인근 카페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는 모습.
연수을 재판 때 투표용지를 감정했던 신수정 충북대 목재종이학과 교수는 지난 19일 중앙일보와 만나 “당시 원고(민경욱 전 의원) 측이 고른 투표용지의 재질과 인쇄 상태, 잉크 등을 종합적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 사전·당일 투표용지와 차이가 없었다. 외부 유입 종이가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신권다발처럼 보이는 빳빳한 투표지에 대해선 “겉으로 그렇게 보였을 수 있지만 현미경이 아닌 돋보기로도 접힌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신 교수가 언론 인터뷰에 응한 것은 2022년 7월 대법원 기각 선고 이후 처음이다.
빳빳한 투표지? 돋보기로도 접힌 흔적

원고 측에서는 빳빳한 투표용지 중 10장을 골라 감정을 의뢰했다. 감정 결과 10장 중 6장에서 접힌 흔적(녹색 점선)이 발견됐다.
신 교수에 따르면 신권다발 투표지라며 원고 측이 의뢰한 투표용지 10장 중 6장(60%)은 실제로는 접힌 투표지였다. 안 접힌 투표지는 4장(40%)이었다. 또 ‘일장기투표지’ ‘본드투표지’ ‘배춧잎투표지’ 등 감정 대상 투표지 122장 전체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접힌 투표지는 72장(59%), 안 접힌 투표지가 50장(41%)으로 비율이 같았다. 평균적으로 투표자 5명 중 3명은 투표지를 접어서 넣고 2명은 접지 않고 투표함에 넣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투표용지가 신권다발처럼 보인 이유에 대해 신 교수는 “고무줄로 묶은 상태로 투표지를 보관하면 공기가 빠지고 압력이 가해지면 투표지가 더 펴지게 된다”며 “접지 않은 투표지의 경우 이런 현상이 더 심하다”고 말했다. 이어 “관외 사전 투표의 경우 봉투가 투표용지보다 커서 접지 않는 경우도 있고, 애초에 접지 않고 말아서 넣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의심 투표지 조작 흔적 없었다
더욱 중요한 대목은 ‘빳빳한 투표지’가 외부에서 대량으로 찍어냈는지 여부다. 신 교수는 “기존 선관위의 투표용지와 의심되는 투표지의 성질을 비교했지만 다르다고 볼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신 교수는 원고가 부정선거로 의심된다며 제출한 투표지 122장(사전투표 102장, 당일투표 20장)과 선관위가 보관하고 있던 투표용지에 사전투표 당시 실제로 쓰인 잉크젯 프린터로 만든 법정생성물 390장을 비교했다. 그는 약 50일간 500여 장 종이의 두께, 색깔, 밝기, 불투명도, 굴절 등 7가지 항목을 검토했다.
투표용지가 외부에서 위조된 것인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한 절차였다. 그 결과 원고가 의혹을 제기한 감정 대상 투표지와 선관위가 보관하던 투표용지에 총선 당일 사용된 잉크젯 프린터로 찍은 사전투표지(법정생성물) 사이에 오차 범위는 대부분 표준편차 이내였다. 각 실험 항목에서 1~2장씩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것이 있었지만 차이가 뚜렷하게 크지 않아 다른 투표용지로 볼 수 없다고 신 교수는 판정했다.
결국 신 교수는 “사전투표 용지는 모두 선관위가 갖고 있던 용지와 잉크로 동일하게 찍힌 것으로 밝혀졌으며 의심되는 투표지 모두 외부에서 위조·조작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 결론”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