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난해 기업·공공기관 제출 자소서 48.5% AI로 작성 의심"

본문

17404451271701.jpg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소서가 크게 널어났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해 기업과 공공기관 등에 제출된 자기소개서 89만건 가운데 절반가량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작성된 것으로 의심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AI 기업 무하유는 25일 자사의 서류평가 솔루션 '프리즘'의 'GPT킬러' 기능을 통해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금융권과 공기업, 일반기업 등에 제출된 89만건의 자기소개서 중 48.5%가 생성형 AI를 이용해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특히 하반기 채용에서는 상반기보다 AI 활용 자소서가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금융권 지원자의 AI 활용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직무별로는 IT·개발 직군이 27.3%로 가장 많았고, 이어 연구직(21.7%), 비개발직(17.4%) 순이었다.

무하유에 따르면 프리즘을 사용하는 고객사 중 68% 이상이 GPT킬러 기능을 선택해 활용 중이며 공공기관과 공기업, 금융권, 대기업 및 중견기업에서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또한 무하유는 "대다수 기업이 지원자가 AI로 작성한 자기소개서를 제출하는 것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무하유 신동호 대표는 "생성형 AI로 작성한 자기소개서는 지원자의 진짜 역량을 파악하기 어렵기에 적합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도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72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