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걸려도 음성’인 신종 마약, 국과수 세계 최초 검출
-
1회 연결
본문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신종 마약류 ‘2-플루오로-2-옥소-피시피알’(2-fluoro-2-Oxo PCPr)을 세계 최초로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마약은 수사기관의 최초 검사에선 음성 반응이 나왔지만, 국과수 정밀 분석을 통해 마약류로 판정됐다.
피시피알은 일명 ‘천사의 가루’로 불리는 펜사이클리딘 계열 유사체다. 펜사이클리딘은 복용 시 환각, 고열, 탈수 등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국내에서 유행하는 케타민도 펜사이클리딘의 일종이다. 그동안 마약류 데이터베이스(DB)에 아예 등록도 안 돼 있었기 때문에 마약 사범 사이에선 “해도 걸리지 않는 마약”이라고 홍보됐다. 하지만 국과수에서 피시피알을 마약류로 판정하면서 이를 유통·구매한 마약 사범은 처벌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피시피알은 2022년 8월 용산에서 현직 경찰관이 아파트에서 추락사한 ‘집단 마약 모임’ 사건에서 검출된 신종 마약과 유사한 화학 구조를 지닌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추락해 숨진 경찰관의 몸에서는 ‘2-플루오로-2-옥소 피시이(PCE)’가 검출됐다. 이후 피시이는 자살충동 등 부작용이 심한 탓에 국내에선 드물게 적발되고 있다고 한다.
국과수는 지난달 31일부터 전국 수사기관 5곳(수원지검·인천경찰청·의정부서·천안서북서·전북경찰청)에서 의뢰된 감정물 14건에서 피시피알을 동시다발로 확인했다. 수사기관은 화단에 마약을 묻는 던지기 수법 등으로 텔레그램을 통해 유통한 마약을 압수해 의뢰했다. 지퍼백에 1~2g 단위로 소분해 유통됐는데, 성인이 수차례 투약할 수 있는 분량이었다고 한다. 2016년 기준 마약청정국 지위를 잃은 국내에선 신종 마약이 매년 발견되고 있다. 국과수는 최근 5년간 합성 대마(FUB-144)를 비롯한 신종 마약 41종을 새롭게 밝혀냈다. 지난해에는 정제 형태로 합성된 펜타닐 유사체를 처음으로 검출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