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글로벌 ‘관세 보복’ 악순환, EU도 미국도 경기침체 우려

본문

‘트럼프세션’ 경보 확산

트럼프발(發) 무역 전쟁이 확산하면서, 올해 주요국 경제 전망의 눈높이가 낮아지고 있다. ‘트럼프세션(트럼프와 침체를 뜻하는 리세션을 합친 말)’의 우려는 커지고 있다.

9일(현지시간) 유럽중앙은행(ECB)은 올해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말 기준 1.1%에서 0.9%로 낮췄다.

내년은 1.4%에서 1.2%로 내렸다. ECB는 “올해와 내년 무역정책 등 광범위한 정책의 불확실성에서 비롯하는 수출 감소와 지속적인 투자 둔화를 반영했다”고 밝혔다.

17416201524029.jpg

정근영 디자이너

트럼프 대통령의 첫 타깃이었던 중국·멕시코·캐나다의 상황도 암울하다. 멕시코 중앙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2%(지난해 11월)에서 0.6%로 반 토막 냈다. 최악의 경우 0.2%까지 위축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캐나다 중앙은행 역시 2.1%에서 1.8%로 낮춰 잡았다.

중국은 최근 양회(兩會)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5% 안팎’으로 제시했지만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이보다 낮게 보고 있다. 최근 골드만삭스와 HSBC는 4.5%, UBS는 4%로 성장률 전망치를 내렸다. 주요 대미(對美) 수출국인 인도(7.2→6.4%)·대만(3.29→3.14%)·태국(2.9→2.5%) 등도 올해 성장 전망을 낮추며 ‘트럼프세션’ 경보를 울리고 있다.

지난 1월 세계은행은 올해 세계 경제가 지난해와 같은 2.7%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이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전에 발표한 수치다. 세계은행은 미국이 1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고, 다른 나라들이 맞대응에 나설 경우 전망치보다 0.3%포인트가 낮아질 수 있다는 단서를 달았다. 전면적인 무역 전쟁이 일어나면 모두가 피해를 볼 것이란 얘기다.

세계 각국이 무역 보호 장벽을 세우면서 성장 동력인 교역량은 벌써 줄어들 조짐이다. 교역량의 선행지표인 컨테이너 해상 운임(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은 지난 7일 기준으로 14개월 만에 최저치를 찍었고, 항공 운임(발틱항공운임지수)은 올해 들어 20%나 떨어졌다. 강병구 인하대 경제학과 교수는 “글로벌 공급망의 블록화 경향이 강해지면 물가가 오르고, 여기에 경기 침체가 동반되는 스태그플레이션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금융시장도 당초 예상과는 다른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트럼프발 경기 침체 우려에 미국에 쏠렸던 글로벌 자금이 줄고 있어서다. 관세 전쟁으로 인한 피해는 역설적으로 미국이 가장 크게 볼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는 배경 중 하나다. 유로·엔 등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가치를 반영한 달러인덱스는 9일 103.88을 기록했다. 109.96까지 치솟았던 연초(1월 13일)대비 두 달 만에 5.5% 급락했다.

대신 글로벌 자금은 관세 전쟁을 대비해 적극적으로 돈을 푸는 국가로 향했다. 독일 등 유럽이 대표적이다. 독일은 최근 운송·주택 등 인프라 투자에 10년간 5000억 유로(약 787조원)의 특별기금을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ECB는 지난 6일 5차례 연속 정책 금리를 인하했다. 과감한 경기부양으로 유로화 가치는 반등했다. 일본 엔화값은 한국시간으로 10일 오후 3시 40분 기준 연초(157.4엔)대비 달러당 6.2% 오른(환율은 하락) 147.67엔에 거래됐다. 박상현 iM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당분간 글로벌 자금의 비미국(Non-US) 선호 현상이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01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