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중대본 "산불사태 인명피해 총 65명"…피해 면적 '여…

본문

17431248499406.jpg

안동시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들이 27일 경북 안동시 남후면 인근 야산에 번진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김종호 기자

28일 산불로 인한 부상자가 전날보다 5명 늘어나며 인명피해 규모가 총 65명으로 늘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산불 피해가 극심한 경북 지역에서 중상 1명, 경상 4명이 추가됐다.

이에 따라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는 사망 28명, 중상 9명, 경상 28명 등 65명으로 증가했다.

당국의 진화 작업이 진행 중이고, 많은 주민이 피해를 호소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인명피해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날 오전 5시 기준 중대형 산불로 진화 작업이 진행되는 곳은 경북 의성(진화율 95%)과 안동(85%), 영덕(65%), 영양(76%), 청송(89%), 경남 산청·하동(86%) 등 6곳이다.

전북 무주와 경남 김해, 충북 옥천, 울산 울주 언양·온양 등 5곳은 앞서 진화작업이 끝났다.

당국은 이날 헬기 126대, 인력 6976명, 장비 936대를 동원해 진화 작업에 나섰다.

이번 산불로 산림 4만8150㏊ 규모가 피해 영향에 놓였다. 2000년 동해안 산불 피해를 뛰어넘는 역대 최악의 상황이다.

이는 축구장 크기(0.714㏊)로 환산할 경우 약 6만7400개, 여의도 면적(290㏊)의 166배, 서울 면적(6만523㏊)의 80%, 제주도(18만5027㏊)의 26%에 달한다.

산불 사태로 3만300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이중 아직 귀가하지 못한 주민은 2407세대·8078명으로 파악됐다. 시설물 피해도 계속 늘어나 주택과 농업시설 등 3481곳이 산불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이한경 중대본 차장(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중대본 회의에서 "오늘도 순간 최대 풍속이 초속 20m의 매우 강한 바람이 예상된다"며 "대기가 건조할 것으로 전망돼 기상 여건이 좋지 않지만, 가용한 자원을 총동원해 산불 진화율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09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