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골든타임’ 왔다, 주불 잡자"…경북 산불 평균 진화율 85%
-
4회 연결
본문

28일 경북 의성군 산림이 일주일간 지속된 산불로 폐허가 돼 있다. 연합뉴스
경북 의성 산불 일주일째인 28일 간밤에 내린 비로 산불 진화율이 85%까지 올랐다. 땅이 젖은 데다 이날 기상 조건도 진화 작업에 유리해 산림당국은 ‘골든타임’이 왔다고 보고 주불 잡기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28일 오전 9시 경북 의성군 산불현장지휘소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임상섭 산림청장은 “비가 내리면서 연무가 적어져 헬기의 시야 확보에 유리하고, 기온이 다른 날에 비해 낮아 산불진화에 유리한 상황으로 진화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며 “오늘 안으로 주불을 잡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산림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 기준 5개 시·군(의성·안동·영양·청송·영덕)의 총 산불영향구역은 4만5157㏊이며 진화율은 85%다. 의성 산불영향구역은 1만2821㏊ 진화율 95%, 안동 산불영향구역 9896㏊ 진화율은 85%, 청송 산불영향구역 9320㏊ 진화율 89%, 영양 산불영향구역 5070㏊ 진화율 76%, 영덕 산불영향구역 8050㏊ 진화율 65%로 잠정 파악됐다. 산불로 인한 산림 피해 규모는 불이 진화되고 나서 집계되지만, 산림당국은 역대 가장 큰 피해를 낳은 2000년 4월 동해안 산불(1만7508㏊) 피해 규모를 이미 넘어섰다고 보고 있다.

지난 27일 경북 의성군 산림청 산불 현장 지휘 본부 일대에 비가 내리자 자원봉사자들이 환호성을 내지르고 있다. 연합뉴스
진화율이 전날 오후 대비 22%나 증가한 건 전날과 28일 새벽에 경북 지역에 내린 소량의 단비 덕분이다. 의성 1.5㎜, 안동 1㎜, 청송 2㎜, 영양 3㎜, 영덕 2㎜의 비가 마른 땅을 적셨다. 이에 산림당국은 밤새 산불진화인력 3700명을 투입해 진화 활동을 실시했다. 안동·영덕 도심지 주거시설과 청송 대전사, 안동 하회마을 등 문화유산, 주왕산 보호를 위해 진화인력을 집중 투입했다.
이날 기상조건도 진화 작업에 유리한 편이다. 대구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경북 동해안·북동 산지에 5㎜ 미만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낮 기온이 9~14도로 전날보다 떨어졌고, 바람도 오전에 평균 초속 3~4m로 불어 강한 편은 아니다. 다만 이날 오후에 순간 최대 초속 10~15m이상 강한 바람이 예보돼 있다.
이에 따라 산림당국은 산불진화헬기 산림청 19대, 지방자치단체 20대, 소방 12대, 군 32대, 경찰 5대 등 88대를 투입했다. 진화인력 5587명, 진화차량 695대 등도 일출과 동시에 진화작업을 시작했다.

지난 27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방하리 산불 현장에 50사단과 2신속대응사단 장병 240여명이 산불 진화 지원작전에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현재 경북 지역 산불이 잠잠해지면서 대피한 주민 일부는 집으로 돌아가고 있다. 이날 오전 5시 기준 의성 697명, 안동 2748명, 청송 953명, 영양 932명, 영덕 955명, 울진 37명 등 6322명이 대피소에 머무르고 있다. 경북 산불로 사망자는 의성 1명(헬기 조종사), 안동 4명, 청송 4명, 영양 6명, 영덕 9명으로 24명이다. 지역 2412개소의 시설이 전소되거나 반소되는 피해를 입었다.
임 청장은 “산불진화 헬기 조종사와 진화대원분들, 지역 주민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 산불확산을 차단하면서 인명과 재산피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