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산청 산불, 213시간만에 껐다… 잔불감시ㆍ피해복구 총력

본문

경남 산청군에서 시작돼 14명의 사상자를 내고 지리산 국립공원까지 불길이 번졌던 산청ㆍ하동 산불의 주불이 발생 10일째 모두 꺼졌다. 산림당국과 경상남도는 잔불 관리에 신경을 곤두세우는 한편 이번 산불로 피해를 본 이재민 등에 대한 지원책을 가다듬고 있다.

17433155335068.jpg

진화율 99%인 산청 산불 현장에 30일 산림청이 헬기를 동원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 뉴스1

산청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꺼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30일 “오후 1시를 기해 산청ㆍ하동 산불의 주불을 모두 진화했다”고 밝혔다. 이 산불의 진화율은 전날 오후 3시부터 99%에 근접했다. 전체 화선 71.2㎞ 구간 중 마지막 남았던 0.2㎞ 구간은 지리산 국립공원 경계 부근으로, 1m 높이까지 쌓인 낙엽더미와 수시로 바뀌는 풍향ㆍ풍속 등 여건에 주불 진화에 애를 먹었다.

산림당국은 전날 밤부터 인력 996명, 날이 밝자 헬기 50대와 인력 1473명을 투입해 이 구간 진화에 집중한 끝에 주불을 모두 껐다. 주불 진화에는 213시간이 걸렸다. 종전 최장 기록인 2022년 울진ㆍ삼척 산불(완전 진화에 223시간) 때다.

산림당국에 따르면 주불 진화가 완료돼 앞으로는 경남도를 중심으로 한 잔불 진화 체계가 가동된다. 당분간 비 소식이 없는 데다 기온ㆍ바람 등 여건에 잔불이 다시 일어나거나 커질 가능성도 있다.

17433155336819.jpg

육군 39사단 장병들이 29일 새벽 경남 산청군 산불 현장에서 산불 진화 작업을 펼치고 있다. 사진 육군 제39보병사단

임상섭 산림청장은 “잔불 진화 및 관리에는 산불 진화 헬기 40대가 투입된다. 산림청 산불재난특수진화대와 고성능 산불진화차 등 장비도 잔불 진화를 위해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임 청장은 이어 “5월 중순까지 봄철 산불대책기간으로 정해 전국 지자체 및 유관기관과 산불 예방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1858㏊ 태운 산불에 14명 사상, 2158명 대피  

산청·하동 산불은 지난 21일 오후 3시26분 산청군 시천면 신천리에서 시작됐다. 산림당국은 이날 오후 6시40분쯤 산불 3단계를 발령했지만, 초속 13m를 넘는 강한 바람을 타고 불길이 빠르게 번졌다. 이번 산불로 산청과 하동을 포함해 지리산 국립공원 경계구역 안팎에 71.2㎞ 길이의 화선이 이어져 산불영향구역 면적은 1858㏊에 달했다. 축구장 약 2602개에 달하는 면적이다. 지리산 국립공원 내부 산불 피해 면적은 약 132㏊로 추정된다.

산불 발생 이후 10일간 헬기 335대와 진화 인력 1만6209명, 진화 장비 1951대가 공중과 지상에서 진화 작전을 펼쳤다. 이 과정에서 지난 22일 현장에 투입된 창녕군 소속 공무원 1명(33)과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 3명(60대)이 숨졌다. 함께 투입된 5명도 심한 화상을 입고 치료를 받고 있다. 인근 주민 2158명이 동의보감촌 등으로 대피했고, 여전히 400여명은 집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17433155338952.jpg

경남 산청·하동 산불 일주일째인 지난 27일 오후 지리산과 인접한 산청군 시천면 동당마을 일대에서 산청군 소속 산불진화대원들이 산불 진화 작업 중 지쳐 잠들어 있다. 사진 뉴스1

창녕군 소속 인력 4명이 숨진 사고와 관련, 고용노동부는 중대재해처벌 위반 여부를 조사하기로 했다. 이들에게 진화에 필요한 의복 및 장비 등이 제대로 지급됐는지를 포함해 중대 재해를 예방할 안전보건 확보 의무가 이행됐는지 등이 조사 대상이 될 것이란 예상이다. 이들은 창녕군 소속이지만, 사고 당시엔 경남도의 지휘를 받았다.

주민지원책 낸 경남도 “대응책 개선도 절실”

경남도는 이번 산불에 따른 피해에 대한 지원 및 복구 계획을 밝혔다. 박완수 경남도시자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 중 산청군 시천면ㆍ삼장면과 하동군 옥종면 주민에게 1인당 3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도비로 지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원 대상은 약 1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경남도는 정부 긴급복지지원 및 희망지원금 등을 활용해 생계유지가 어려운 가구에 대한 주거비 및 의료비 등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주택 피해 가구에 대해선 한국선비문화연구원 등과 협의해 임시 주거지를 제공하고, 마을 단위로 마음안심버스 파견 등을 통해 주민 심리 지원도 계속하기로 했다.

산청ㆍ하동지역 소상공인에겐 100억원 규모의 긴급 경영안정자금 융자 지원을, 농업인에겐 개인당 5000만원(법인 3억원)의 저리 융자를 제공한다. 기존 대출에 대해선 상환 유예 및 이자 감면도 지원된다.

한편 박 지사는 “이번 산불을 계기로 산불 대응 체계 개선이 절실하단 점이 확인됐다”며 “특별재난지역에 대한 민간 헬기 이·착륙 허가 간소화를 포함해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설립, 지자체 진화대원에 대한 지원 확대 등을 정부에 건의하고 적극적으로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45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