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마약 연결고리 끊는다…경찰 전담팀, 온라인 유통 집중 단속

본문

17433695387185.jpg

경찰 국가수사본부는 지난 2020년부터 각 시도청에서 운영하던 ‘다크웹·가상자산 전문수사팀’을 온라인 마약 수사 전담팀으로 개편해 전담 대응 체계를 정비한다고 30일 밝혔다. 사진은 지난 1월 11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김현동 기자.

경찰이 온라인상에서 이뤄지는 마약류 유통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서 각 시·도 경찰청에 전담팀을 마련하는 등 총력 대응에 나선다. 30일 경찰 국가수사본부에 따르면 경찰은 지난 2020년부터 각 시도청에서 운영하던 ‘다크웹·가상자산 전문수사팀’을 온라인 마약 수사 전담팀으로 개편해 전담 대응 체계를 정비한다. 경찰은 지난 17일부터 6월30일까지 마약류 범죄 집중 단속을 시행하고 있다.

경찰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온라인을 통한 마약 유통 범죄가 퍼지고 있단 점에 주목했다. 마약 범죄 검거 피의자 중 10대~30대의 비중은 2020년 51.2%(6255명)에서 지난해 63.4%(8566명)로 조사됐다. 온라인 마약류 사범 검거 수는 지난 2020년 2608명에서 지난해 4274명으로 4년 새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지난해 8월 대전경찰청은 SNS 텔레그램으로 마약 판매 채널을 만들어 국내로 마약을 밀반입한 혐의를 받는 조직원 54명을 적발해 송치한 바 있다. 부산본부세관도 지난 2월 텔레그램으로 합성·액상 대마 총 7.1kg을 밀수·유통한 혐의를 받는 20대 2명을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검거해 송치했다.

17433695388648.jpg

지난해 2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텔레그램의 한 마약 판매 관련 대화방에서 10분 사이 15개의 메시지가 올라오는 등 마약 판매 글이 활성화되고 있다. 텔레그램 캡처

경찰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 대해 접근성이 높은 10대~30대 위주로 온라인 마약류 범죄가 늘고 있다고 보고 집중 수사를 전개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온라인상에서 이뤄지는 마약류의 익명 거래·비대면 배송 등에 대해서 기존보다 더욱 강화된 대응책이 필요하단 이유에서다.

경찰은 온라인 마약 수사 전담팀을 통해 ▶불법 가상자산 거래소 ▶판매 광고 대행업자 ▶전담 운반책 등 마약류 유통 범죄가 이뤄지는 단계를 타깃별로 수사하기로 했다. 기존의 저인망식 수사 대신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서 마약류 공급 줄기를 끊겠다는 취지다. 경찰 관계자는 “마약류 온라인 유통 수단 간 연결고리를 단절함으로써 온라인 마약류 시장을 와해하겠다”고 강조했다.

경찰은 해외 기반 마약류 범죄 수사망도 강화할 예정이다. 경찰은 해외 IT 기업, 보안 메신저 등이 온라인 마약류 범죄에 활용된 경우 ‘국제공조 인프라’를 활용해서 수사 단서를 확보하겠단 방침이다.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마약류의 경우 ‘아시아 마약범죄 대응 실무협의체(ANCRA)’의 국가 간 수사 협력 채널을 적극적으로 가동해서 수사망을 촘촘히 짜겠단 계획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11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