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종교계, 시민단체들 “헌재 결정 존중, 승복해야 사회통합”
-
3회 연결
본문

4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 인근에 모인 시민들이 윤석열 대통령 파면이 선고되자 기뻐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을 결정한 뒤 각계각층 시민 단체들이 헌재의 결정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냈다.
종교계는 헌재 결정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승복해야 한다며 이를 계기로 국민적 화합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는 성명서에서 “탄핵 심판이라는 법의 시간은 일단락됐다. 국가 권력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화합을 이루기 위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 주길 당부한다”고 했다. 한국교회총연합은 “여야는 국민 갈등을 선동하지 말고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통해 대의 민주주의 정치를 복원하라”고 촉구했고,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도 “헌재 결정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승복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정부 관계자들은 국민의 고통과 불안을 해소하도록 국정 혼란을 잘 수습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대한불교조계종은 “법과 제도에 따른 최종적 판단으로, 우리 헌법과 민주주의가 작동하고 있다는 분명한 증거”라며 “모든 국민이 성숙한 자세로 법의 판단을 존중할 것을 간곡히 요청한다”고 는 입장을 냈다. 원불교도 “대한민국 헌정사의 중대한 사건이자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바로 세운 결정”이라며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도교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한층 성숙해졌음을 보여주는 역사적인 순간이다. 국민이 화합해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했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사건에 대해 인용을 선고한 4일 서울 종로구 안국동 일대에서 탄핵에 찬성한 시민들이 헌재의 파면 선고에 환호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헌재의 결정을 반기는 시민단체의 입장문과 성명이 이어졌다. 탄핵 찬성 집회를 이끌어온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과 촛불행동은 각각 “수많은 시민의 희생과 민주 항쟁으로 일궈온 헌법과 민주주의의 힘을 재확인한 것” “위대한 국민에게 깊이 감사하며 민주정부 건설에 즉각 돌입해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대통령의 권한도 헌법의 틀 안에서 엄격히 제한되어야 함을 재확인한 것”이라며 “입법부의 권한과 선거관리위원회의 독립성, 그리고 법치주의를 동시에 지켜낸 판단”이라고 평가했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의 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참여연대는 “조기 대선 과정에서 정치권과 대선 후보들은 주권자가 주권자답게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과도한 대통령의 권한을 조정 통제할 장치 마련을 약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군인권센터는 “어떤 권력자도 감히 시민을 향해 총구를 들이밀 수 있다는 생각을 못 하게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에 모인 시민들이 4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 파면이 선고되자 기뻐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노동계는 사회 개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은 이날 성명에서 “극심한 국가적 혼란에 종지부를 찍은 정의롭고 현명한 판단을 존중하고 환영한다”며 “복합 위기의 시대를 극복할 사회적 대화의 주체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논평을 내고 “차별과 배제, 불평등을 넘어 공공성 보장 등을 이뤄내는 노동 존중 사회의 길을 열어내겠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