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어른 문방구 매출 10배로…‘텍스트 힙’은 힘이 세다
-
5회 연결
본문

지난 5일 코엑스에서 열린 문구페어 ‘인벤타리오’의 서점 유어마인드 부스에서 사람들이 책갈피를 고르고 있다. 최혜리 기자
“책 내용에 딱 맞는 책갈피를 끼워두면 기분 좋잖아요!”
지난 5일, 코엑스 더 플라츠홀에서 열린 문구페어 ‘인벤타리오’의 독립서점 유어마인드 부스에 방문한 함모(27)씨는 각종 빵이 그려져있는 책갈피를 들어보이며 이렇게 말했다. 경기도 수원에서 와 1시간 정도 부스를 둘러봤다는 함씨는 “사람이 많아 지치지만 귀여운 문구들을 사서 좋다”며 들떠있었다.
‘인벤타리오’는 문구 브랜드 포인트오브뷰와 온·오프라인 기반 편집숍 29CM가 함께 기획한 문구페어로, 2일부터 6일까지 5일 간 진행됐다. 한국에서 민간 기업이 개최한 오프라인 문구페어는 이번이 처음이며, 총 69개 브랜드가 참여했다. 포인트오브뷰는 문구 디자인 회사인 동시에 2022년 서울 성수동 연무장길에 문을 연 문구 편집샵의 이름. ‘어른들의 문방구’로도 불리는 이 매장은 지난해 기준 전년 대비 10배 이상의 거래액 상승을 기록하며 급성장 중이다.
최근 문구에 쏠리는 MZ세대의 관심을 반영한 듯 ‘인벤타리오’도 1달 전부터 진행한 사전예매 단계에서 티켓이 매진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공개 첫날이던 2일엔 약 2000㎡(670평) 규모의 넓은 전시 공간이 관람객으로 꽉 들어찼고, 행사장 앞엔 입장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100m 가까이 길게 늘어섰다.

지난 1일 용산 CGV에서 열린 팝업 ‘씨집책방’. 15일까지 진행된다. 최혜리 기자
문구 산업의 성장은 젊은 층 사이 불고 있는 ‘텍스트 힙’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텍스트 힙’은 글을 뜻하는 ‘텍스트’와 멋지다는 뜻의 ‘힙’을 조합한 단어. 작년 10월,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신조어로 부상했다. 초기엔 멋져 보이기 위해 책을 읽는다는 뜻으로 사용됐지만, 최근엔 ‘다방면으로 확장된 독서문화’를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다.
‘인벤타리오’에 나온 문구 중에는 책갈피, 북커버, 필사노트 등 독서 관련 상품이 많았다. 포인트오브뷰와 『아무튼, 문구』를 쓴 김규림 작가가 함께 만든 ‘책연필’은 책에 그어도 밑줄이 안 남는 투명색 색연필로 관람객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디자인 스튜디오 오이뮤가 인기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와 함께 만든 유채 책갈피는 부스를 열자마자 동났다. 신소현 오이뮤 대표는 “최근 1년 사이 책과 관련한 제품의 매출이 3~4배 늘었다”며 “같은 문구 업계에서도 이러한 변화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티커 등의 문구를 이용해 책을 취향에 맞게 꾸미거나(‘책꾸’) 관련 굿즈를 사 모으는 것은 물론 저자와의 만남 등 책 관련 행사에 참여하는 젊은이들도 늘고 있다. 지난 1일 영화관 CGV에선 만우절 이벤트로 독립서점 콘셉트의 팝업 행사 ‘씨집책방’이 열렸다. CGV가 출판사 문학동네와 함께 큐레이팅한 책을 영화관 옆 대기공간에 서점처럼 비치해뒀다. 같은 날엔 이벤트의 일환으로 영화관 안에서 독서를 할 수 있게 만든 ‘독서관’도 열렸다. 신청자는 대부분 MZ세대였다.
2011년부터 진행된 민음사의 연간 멤버십 서비스 ‘민음북클럽’은 지난해, 전년대비 회원수가 100% 이상 증가하며 큰 성공을 거뒀다. 편집자들이 선정한 글과 소장하고 싶은 굿즈를 모은 가입선물 ‘잡동산이’가 성공 요인으로 꼽혔다. 민음사 마케팅부 조아란 부장은 “이미지나 극단적으로 짧은 영상이 지배하는 시대에 글의 힘이 주목받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며 “새로운 세대의 독자들이 책에 대한 애정을 키워가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