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서민만 힘들어져” 관세반대 시위에…백악관 답은 ‘2m 철책’

본문

17440464725513.jpg

미 경찰은 전국적인 반트럼프 시위가 일어난 다음날인 6일(현지시간) 백악관 주변에 2m 높이의 철책을 설치했다. 강태화 특파원

6일(현지시간) 미국의 심장 워싱턴 곳곳엔 2m가 넘는 철책이 세워져 있었다. 끝없이 이어진 철책의 종착지는 백악관이다.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반대하는 자국 국민들을 차단하기 위해 쌓은 ‘철옹성’이다.

평소 시민들이 자유롭게 드나들던 백악관 앞 도로엔 무장 병력이 배치됐다.

경호 요원들은 “대통령을 보호하기 위해 통행이 제한된다”고 했지만, 정작 백악관에 트럼프 대통령은 없었다. 그는 관세폭탄을 던진 바로 다음날인 지난 3일 전용기를 타고 마이애미로 직행해 목요일부터 주말 내내 골프를 쳤다.

트럼프 대통령이 골프에 심취해 있던 사이 뉴욕증시에선 시가총액 6조 6000억 달러(약 9645조원)가 증발했다.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부담에 내몰린 서민 60만명은 거리로 나서 50개주 전역에서 진행된 반(反)트럼프 시위 ‘손을 떼라(hands off)’에 참여했다.

관련기사

  • ‘T의 공포’ 아시아 증시 휩쓸다

  • 미 증시 고꾸라지는데, 트럼프 “때론 약 먹어야”

  • 금값마저 장중 3000달러 깨져…엔화는 2년 만에 ‘100엔=1000원’ 찍었다

  • 이시바, 트럼프와 ‘관세 통화’…최대 대미 투자국 강조했다

철책 사이로 멀리 보이는 백악관을 한동안 바라보던 패트리스 볼러는 “나도 어제 워싱턴 집회에 참석했는데 트럼프는 끝내 철책까지 세워 귀를 닫았다”며 “트럼프 때문에 시민들의 인권과 권리가 매일 도전받는 상황에 대해 분노하지 않는 것이 더 이상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대해 “절대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 난센스”라고 했다. 그러면서 “무역은 물론 경제에도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악영향을 끼쳐 결국 모든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가족들과 백악관을 찾았다가 철책에 가로막혀 발길을 돌리던 터널 챈스는 “관세로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든다는 말은 부자와 힘 있는 사람들만을 위한 구호”라며 “나 같은 서민들에게 미국은 한 번도 위대한 적이 없었고, 트럼프가 돌아온 뒤 끔찍한 일만 계속되고 있다”고 했다. 그 역시 관세가 트럼프의 정책 중 가장 나쁜 선택이라고 했다. 챈스는 “관세는 결국 없는 사람들이 물건을 살 때 더 내야 하는 세금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미국 전역이 관세 정책에 떨고 있을 때 SNS에 “버티라”는 짧은 글을 올렸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늦게  워싱턴으로 복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돌아오는 기내에서 기자들에게 유럽연합(EU)에 대한 무역 적자를 거론하며 “유럽은 미국으로부터 많은 돈을 벌고도 미국을 나쁘게 대우한다”며 “우리는 그렇게 하면서 유럽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돈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 쓸 수 없다”고 강조했다.

EU가 무역흑자 규모를 줄이지 않으면 동맹 안보에서 손을 떼겠다는 협박에 가까운 말로, 이는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한국에도 언제든지 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통보한 한국에 대한 25%의 상호관세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국가를 비롯해 미군이 주둔하고 있는 동맹국 중에서 가장 높다.

이에 대해 맥 셸리 아이오와 주립대 교수는 이날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관세 정책은 근본적으로 국내 문제인 동시에 국제 문제”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미 관세를 통해 나토의 핵심 요소를 뒤흔들고 있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다른 다국적 동맹 구조나 한국 등 개별 동맹국과의 관계에서 관세를 협상 카드로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01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