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애플, 관세 부담으로…인도서 더 많은 아이폰 美에 공급”

본문

17440608051106.jpg

애플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이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을 미국으로 더 많이 가져올 예정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상호 관세 부과를 발표한 가운데 중국보다 상대적으로 관세가 낮은 인도에서 조립한 아이폰을 미국으로 가져옴으로써 이를 어느 정도 상쇄한다는 것이다.

WSJ은 “이런 조정은 애플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계획에 대한 단기적인 임시 조치”라며 “애플은 현재 상황이 공급망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을 바꾸기에는 불확실하다고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대해 34%의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이에 중국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제품에 대한 관세율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54%로 급등했다. 인도산 제품에는 관세율이 26%로 책정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기에 더해 중국의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추가로 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힌 상태다.

애플은 수년 전부터 아이폰 등 주요 기기의 생산 기지를 다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중국에서 많은 양을 생산해 미국으로 들여오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에 따르면 애플은 올해 인도에서는 약 2500만 대의 아이폰을 생산할 예정으로, 이 중 약 1000만대는 대개 인도 국내 시장에 공급된다.

애플이 인도에서 생산된 모든 아이폰을 미국 국내용으로 전환하면 올해 미국 아이폰 수요의 약 50%를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로 현재 1100달러에 판매되는 아이폰16 프로의 경우 현재 550달러에 달하는 하드웨어 비용에 300달러가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관세가 중국의 절반 수준인 인도에서 아이폰을 들여오면 손해를 줄일 수 있다.

애플은 2017년부터 파트너사와 협력해 인도에서 아이폰을 조립해 왔으며, 구형 모델부터 시작해 점차 최신 모델까지 확장하고 있다.

WSJ은 “애플이 인도에서 아이폰 생산을 늘릴 계획이지만, 폭스콘 등의 파트너사는 중국의 공급업체 네트워크, 숙련된 노동력 및 정부 지원을 활용해 거대한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13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