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트럼프 억만장자 친구들도 "관세, 너무 공격적"…머스크 동생 "…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지지했던 억만장자들이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주가가 급락하는 등 혼란이 일자 관세 정책을 맹비난하고 나섰다.

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공화당 후원자인 억만장자 켄 랭곤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너무 높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주변에서) 잘못된 조언을 받고 있다"고 비판했다. 인테리어 업체인 홈디포의 공동 창립자인 그는 시장 상황과 관련해 "베트남 상호관세 46%는 헛소리이며,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 34%도 너무 공격적이고 성급했다"며 "그 빌어먹을 관세 계산법을 이해할 수 없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17440790066241.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하는 동안 네타냐후 총리를 지켜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그러면서 "모든 수입품에 10% 일괄 관세를 먼저 매긴 뒤에 개별 국가와 양자 협상을 진행하는 게 관리하기 쉽고 건설적이었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표했다.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를 지지했던 억만장자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 캐피털 회장도 "(트럼프의 관세 조치는) 심각한 정책적 실수"라며 "스스로 유발한 경제적 '핵겨울(nuclear winter)'"이라고 평가했다. 관세전쟁의 후폭풍을 핵전쟁이 발생하면 닥칠 수 있는 일시적 빙하기에 빗댄 것이다. 애크먼 회장은 또 "이대로 가면 기업 투자는 멈추고 소비자들은 지갑을 닫고, 다른 국가들과의 신뢰는 심각하게 훼손된다"며 "이 신뢰를 회복하는 데는 수 년, 어쩌면 수십 년이 걸릴 수 있다"고 했다.

억만장자 투자자이자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의 멘토인 스탠리 드러켄밀러 역시 지난 6일 X(옛 트위터)에 "10%를 넘는 관세는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1744079006794.jpg

홈디포 공동창립자인 켄 랭곤. 유튜브

앞서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에서 발표한 상호 관세 정책으로 글로벌 금융 시장은 혼란에 빠졌고, 뉴욕증시에서 S&P 500 지수는 최근 3거래일간 10% 넘게 하락했다.

이와 관련, 금융계에서도 트럼프표 관세 정책 비판이 쏟아졌다. JP모건 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7일 주주들에게 보낸 연례 서한에서 "이번 관세 조치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촉진하고 경기침체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 문제가 빨리 해결될수록 좋다"며 "부정적인 여파가 누적될수록 되돌리기 어려워질 수 있다"고 했다. '월가 황제'로 불리는 다이먼이 연례 서한에서 미 행정부의 단일 경제 정책에 대해 직접 비판하기는 매우 이례적이다.

17440790069634.jpg

JP모건 체이스의 CEO인 제이미 다이먼이 2016년 9월 12일 워싱턴 DC에서 인터뷰에 참여한 모습. 그는 7일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높일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AFP=연합뉴스

워런 버핏, 조지 소로스와 함께 세계 3대 투자자로 불리는 짐 로저스도 FT에 "관세는 가끔 단기적으로 도움이 된 적은 있지만, 대체로 누구에게도 좋은 정책이 아니다"고 꼬집었다.

머스크 동생 "수십 년 만에 가장 높은 세금" 

트럼프의 최측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동생인 킴벌 머스크도 트럼프 관세 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킴벌은 7일 X에 "(트럼프의 관세는) 미국 소비자에게 구조적이고 영구적인 세금"이라며 "트럼프는 수십년 만에 가장 높은 세금을 부과하는 대통령처럼 보인다"고 직격했다.

17440790071173.jpg

킴벌 머스크. X(옛 트위터)

그는 "관세로 일자리를 미국 내로 되돌리는 데 성공한다 해도 가격은 여전히 높게 유지되고 소비에 대한 세금은 결국 더 높은 가격이라는 형태로 남을 것"이라고도 했다. 테슬라 이사회 멤버이기도 한 킴벌은 '더 키친'이라는 레스토랑 가맹점을 소유하고 있다.

앞서 일론 머스크는 지난 5일 "미국과 유럽이 이상적으로는 무관세 체제로 나아가 사실상의 자유무역지대를 만들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전방위적인 관세 정책과는 정면 배치되는 발언이었다.

나바로 "머스크는 차 조립공" 

이와 관련, 트럼프의 ‘관세 책사’로 불리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7일 머스크를 “자동차 조립공”이라고 깎아내렸다. '유럽 무관세'를 주장하며 트럼프 관세 정책에 불만을 표출한 머스크를 직격한 것이다.

17440790072597.jpg

3월 26일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동안,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 및 제조업 수석고문이 함께한 모습. UPI=연합뉴스

나바로는 이날 CNBC 인터뷰에서 관련 질문에 "머스크는 해외 부품에 의존하는 자동차 조립자일뿐"이라며 "많은 테슬라 부품은 일본·중국·대만에서 온다. 머스크는 값싼 외국 부품을 원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트럼프의 관세 전쟁이 격화되면서 측근 그룹 안에서도 관세가 내분의 핵심 소재가 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관련기사

  • 17440790074038.jpg

    美싱크탱크도 "트럼프 관세 오류 심각…다시 계산하면 한국 10%"

  • 치킨게임 치닫는 미·중…세계경제 ‘R의 공포’ 경고등

  • 17440790075392.jpg

    "트럼프, 나랏일 손 떼라" 美전역서 폭발…1400건 집회 열렸다

  • 17440790076769.jpg

    '세계의 공장' 베트남에 46% 관세폭탄…현지공장 둔 韓기업 비상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70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