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의협, 정부·국회에 첫 대화 요청…의대정원 동결도 동의

본문

의대 증원 등 정부 의료정책에 반발해온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처음으로 정부·국회를 향해 “논의 테이블을 마련해달라”면서 대화를 요청했다. 내년도 의대 정원도 ‘3058명 동결’이란 정부안에 동의한다는 뜻도 밝혔다. 1년 2개월간 이어진 의정갈등의 분기점이 될지 주목된다.

의협은 8일 브리핑에서 “의료 정상화는 차기 정부가 들어서기 전, 현 정부가 해결해야 하는 과제”라며 “이제는 정부와 국회가 제대로 결정권을 갖고 대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정부와 국회에 “의료 정상화를 위한 의료계의 제안을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의정갈등 후 사실상 처음으로 대화 의사를 밝힌 것이다. 의협은 지난 3일까지도 “정부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고만 했다. 하지만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을 계기로 “이제 대화할 때”라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날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무리한 정책을 추진했던 전 대통령이 탄핵당하면서 전공의·의대생이 입었던 상처도 많이 위로받았다고 평가한다”며 “논의 테이블이 만들어지면 전공의·의대생들이 대화에 참여하는 게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의협 관계자는 “탄핵으로 분위기가 바뀌었다. 더는 정원을 줄이자고 요구하는 건 무리라는 판단이 있었다”면서 “(강경파인) 박단 부회장의 발언권도 많이 약해졌다”고 전했다.

대선 전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와 대화하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김 대변인은 “한 대행은 짧은 기간이지만 국정을 책임지는 위치에 있다”며 “지금의 상황을 해결하지 않고 차기 정부에 넘긴다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라고 했다. 이어 “정부와 의협, 결정을 도와줄 국회 측이 들어가야 한다”고 했다. 지난해 무산된 여야의정 협의체를 구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내년도 의대 정원 동결에 동의한다는 입장도 처음 밝혔다. 앞서 교육부는 의대생 복귀를 전제로 내년 모집인원을 증원 전 수준(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했다. 하지만 의협은 “정부의 말장난”이라고 비판하거나 “한 명도 뽑지 말아야 한다”(김택우 회장)는 입장을 내부적으로 밝힌 바 있다.

이날 김 대변인은 “2026년 의대에 들어올 수 있는 인원은 3058명으로 정하는 게 맞다”고 했다. 이어 “(정부 측에서) ‘내년에 다시 (2000명 증원된) 5058명을 뽑을 거야’라는 식의 언사는 앞으로 없어야 한다”며 정원 동결을 빨리 확정하라고 촉구했다. 정부에 외쳐온 ‘필수의료 패키지’ 재검토 주장도 누그러뜨렸다.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중단 등은 고수하긴 했지만 “의료개혁 과제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라면서 “세부 내용이 불합리한 게 많으니 제대로 점검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19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