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괴물 산불' 경북서만 피해 신고액 1.4조…복구에 2.7조 들…

본문

17442485568567.jpg

지난달 28일 경북 의성군 산림이 산불로 폐허가 되어있다. 김종호 기자

지난달 22일부터 일주일간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 등 경북 5개 시·군을 덮친 ‘괴물 산불’이 역대급 피해액을 낳을 전망이다. 지금까지 잠정 집계된 피해액이 1조원을 넘겼고 이에 따른 복구비도 2조80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10일 경북도에 따르면 산불로 피해가 난 5개 시·군에서 지난달 31일부터 산불 피해 조사를 진행했다.

“산불 피해 복구비 2조7868억원”

현재까지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 입력된 피해 신고액은 9일 오전 8시30분 기준으로 1조43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사유시설이 3865억원, 공공시설이 1조435억원이다. 이에 따른 복구비도 2조7868억원으로 추산됐다. 경북도는 신고 피해액과 복구비의 70% 이상이 산림에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사유 시설에 대한 조사와 신고 기간은 이달 15일까지로 피해지역의 사정을 고려해 1주일 연장했다. 신고 기간이 아직 남은 만큼 잠정 피해액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17442485570173.jpg

지난 2일 경북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 달기약수터 인근 식당들이 산불에 타 폭격을 맞은 듯이 무너져 있다. 김정석 기자

각 지자체에 접수된 피해 신고 금액을 토대로 중앙부처가 합동조사를 벌여 최종 피해액과 복구비가 확정된다. 중앙합동조사단은 오는 15일까지 조사를 할 방침이다. 행정안전부를 주축으로 11개 부처와 민간 전문가를 포함한 100여 명, 경북도 22개 부서 80여 명이 피해지역 현장 조사, 피해액과 복구액 입력 내용 등을 확인한다.

이와 함께 경북 북부지역 송이 주산지를 비롯해 산림작물 분야에도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만큼 임업인의 사유 시설 피해 현황 파악에도 집중하고 있다.

복구 제외 송이농가 지원 요청도

특히 송이버섯의 경우 재배작물이 아닌 자연발생에 의한 채취 임산물로 정부 지원 복구 대상에서는 제외돼 있어 생계가 막막한 송이 피해 임가들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

이에 경북도는 송이 등 채취 임산물에 대한 피해조사를 동시에 진행, 산불 피해 임지에 송이를 대체할 단기소득 임산물을 조성할 수 있는 사업을 이번 정부 추경 지원사업에 적극 반영되도록 건의하고 있다.

17442485571787.jpg

지난달 28일 경북 의성군 의성읍 인근 한 공장이 산불로 인해 폐허가 되어있다. 김종호 기자

중앙합동조사와 복구 계획이 확정되면 표고재배사 등 재배시설에 대한 피해복구와 호두·밤·대추 등 산림작물의 소실로 인한 대파(代播), 병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 살포 등 산림작물의 피해 정도에 따라 맞춤형 복구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산불 탓에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경북 지역 이재민은 9일 오후 11시 기준으로 2073세대 3488명으로 파악됐다. 이 중 3097명은 호텔이나 연수원, 마을회관 등 임시거주시설, 386명은 체육관 등 대피소, 5명은 임시조립주택에 머무르고 있다.

이재민 3488명…성금 1205억원

국민성금도 역대 최고액을 기록하고 있다. 행안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산불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한 국민성금은 9일 오후 5시 기준 1205억원4000만원이 모금됐다.

17442485573398.jpg

지난 1일 경북 의성군 의성읍 의성체육관에 마련된 산불 이재민 임시대피소 모습. 김정석 기자

박성수 경북도 안전행정실장은 “초대형 산불 피해로 많은 도민이 어려움을 겪는 만큼 신속한 피해복구와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과 긴밀히 협력하고 빈틈없는 피해조사를 통해 산불 피해 이전보다 개선된 복구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04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