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러브콜 쏟아지는 K조선…대박 관건은 정부 리더‘쉽’
-
5회 연결
본문
트럼프 시대 수혜업종 분석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격화하며 전 세계 정부·기업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그런데 미국의 중국 견제로 오히려 기회가 커진 산업이 있다. 조선업이 대표적이다. 산업계에선 막연한 기대에 그치지 않기 위해 치밀한 전략과 정부의 협상력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미국의 해상 지배권을 복원하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그는 “우리는 조선업에 많은 돈을 쓸 것”이라며 “미국은 예전에 하루에 배 1척을 만들었지만, 지금은 1년에 1척도 못 만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에서 해양 산업 활성화를 위한 행동 계획 수립을 지시했다. 구체적으로는 국방물자생산법(DPA)을 통해 해양 산업 인프라를 확대하는 안이 추진된다. 대통령이 안보 물품의 생산을 지시하고 재정 지원을 할 수 있다. 이날 백악관은 “미국은 전 세계 선박의 0.2%를 건조하는 반면, 중국은 74%를 건조한다”라며 “경제 안보를 위해 미국 국기를 내걸고 무역을 하는 상선의 규모를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조선업계는 미국과 협력에 대한 기대가 큰 상태다. 지난해부터 시작한 미 해군 함정에 대한 유지·보수·정비(MRO) 사업과 신규 함정 건조 사업이 협력 대상으로 유력하다. 중국 선박에 대한 규제가 본격화하면 글로벌 선주들이 한국산 상선 발주를 늘릴 거라는 기대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행정명령에서 무역대표부(USTR)에 중국의 반경쟁 행위를 조사하라고 지시했다.
조선업계는 정부 차원의 협상을 통해 최소한의 일감이 확보돼야 협력을 지속할 수 있다고 본다. 지금처럼 미 해군이 1~2척의 MRO 물량을 경쟁 입찰 방식으로 발주하면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막연한 기대만으론 2000억~3000억원짜리 상선을 건조할 수 있는 도크를 비워두긴 어렵다”라며 “수주 물량과 일정에 대한 불확실성이 해소돼야 장기적인 협력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예비역 해군 준장 출신인 신승민 부산대 선박해양플랜트기술연구원 초빙교수도 “최소 2~3년 치 일감을 (미국이) 안정적으로 공급한다는 보장이 있어야 할 것”이라며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서 관련 주제를 함께 논의하는 등 정부간 협상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이 80%를 장악한 태양광 패널(모듈) 시장에선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만 1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한국 기업들이 미국에서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중국 업체들은 텍사스주·미네소타·사우스캐롤라이나·오하이오 등 미국 전역에서 태양광 모듈과 관련 소재 생산 공정을 갖추고 미국 시장을 공략해왔다.
그런데 미국이 올 1월부터 중국산 태양광 웨이퍼(기판)와 원료인 폴리실리콘 소재 관세를 50%로 인상했고, 여기에 상호관세까지 추가되자 중국 기업들의 원가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 국내 업계 관계자는 “미국에 공장 둔 중국 기업이라도 부품·소재는 중국에서 수입하기 때문에 원재료 상승 부담을 견디기 힘들 것”이라며 “투자 중단이나 철수 사례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 생산 시설을 확대하고 있는 한국 기업들은 중국과 경쟁을 피할 시간을 벌었다. 한화솔루션은 2023년부터 3조원 이상을 투자해 조지아주 달튼과 카터스빌에 태양광 생산기지인 ‘솔라 허브’를 구축하고, 폴리실리콘을 제외하면 잉곳(폴리실리콘 덩어리)-웨이퍼-셀(태양광 전지)-모듈 등 태양광 밸류체인을 완성했다. OCI홀딩스도 텍사스주에 태양광 셀 생산 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