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트럼프 관세질주 멈춰 세운 미국 국채…“사람들이 불안해 하더라”

본문

미국 국채 시장 불안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질주를 멈춰세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중국을 제외하고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발표한 직후 ‘국채 시장의 반응 때문에 관세를 유예했느냐’는 질문에 “채권시장을 지켜보고 있었다. 어젯밤에 보니까 사람들이 불안해 하더라”고 답했다.

이에 앞서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은 “대통령과 나는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CNN은 미 재무부 내에서 채권시장 혼란에 대한 우려가 커진 것이 트럼프의 태세 전환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3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주식 폭락에도 꿈쩍하지 않던 트럼프가 국채 투매에는 두손을 든 모양새다.

상호관세가 발효된 9일 자정 직후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516%까지 치솟았다(국채 가격은 하락). 헤지펀드들이 주가 하락 등으로 마진콜(투자 손실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 증거금 요구) 압박을 받으면서 국채를 대량 매도한 게 원인으로 꼽힌다. 일각에선 관세정책에 반발한 국가들의 매도가 원인이었을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관세 유예 결정 이후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4.3%대로 떨어졌다. 트럼프가 국채 금리에 주목하는 건 재정적자 때문이다. 지난해 말 기준 연방 부채 규모는 35조4600억 달러(5경1860조원)에 달한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124%다. 2024회계연도에 미국 정부는 국채 이자로만 1조1330억 달러(1657조원)를 지불했다. 처음으로 1조 달러를 넘어섰는데, 국방비 지출 규모를 웃돈다. 또 주요 금융상품과 연동돼 있기 때문에 국채금리가 오르면 개인·기업의 이자 상환 부담이 커지고, 주택시장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 내년 중간선거를 치러야 하는 트럼프에겐 악재가 될 수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57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