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파월도 ‘트럼프 관세’ 비판 가세…“인플레·성장둔화 우려”

본문

진퇴양난에 빠진 Fed

17449032423339.jpg

미국의 금리 인하 시계가 사실상 멈춰섰다. 제롬 파월(사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금리 인하 신중론을 명확히 하면서다.

16일(현지시간) 파월 의장은 시카고 경제클럽 연설에서 “당분간 정책 기조에 대한 조정(금리 인하)을 고려하기 전에 더 명확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밝혔다.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거나 목표치에 다다를 것이라는 경제지표가 나올 때까지 금리 인하 결정을 미루겠다는 풀이가 나온다. 블룸버그는 “파월 의장이 관망 모드를 유지했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세 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했던 Fed는 올해 들어선 한 차례도 금리를 내리지 못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선 직접적인 비판도 내놨다. 파월 의장은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다”며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높다. 이는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률) 상승과 성장 둔화를 포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코로나19 확산 당시 반도체 수급 어려움으로 자동차 가격이 올랐던 사례를 언급하면서 무역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차질이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도 우려했다.

Fed 입장에선 진퇴양난의 상황에 직면했다. 물가 상승 압력 해소를 위해 금리를 높이면 경기 침체와 고용시장 냉각을 악화시킬 수 있고, 반대로 금리를 낮추면 물가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파월 의장은 “우리는 두 가지 목표(최대 고용·물가 안정)가 긴장 상태에 놓이는 도전적인 시나리오에 직면할 수 있다”며 “중앙은행으로서 무엇을 해야 할지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물가 상승률이 더 중요하다는 내심을 내비쳤다. 그는 “물가 안정 없이는 모든 미국인에게 도움이 되는 강한 고용시장 환경을 장기간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며 “관세로 인한 일시적인 가격 인상이 계속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데 Fed가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결국 관세로 인한 물가 불안이 이어지는 한 Fed가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리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마이클 페롤리 JP모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파월 의장이 Fed의 목표인 완전 고용 달성을 위한 전제 조건이 물가 안정임을 명확히 했다”며 “파월 의장의 발언은 올해 첫 금리 인하가 9월에 이뤄질 것이라는 JP모건 예측과 부합했다”고 평가했다.

시장 일각에서 나온 ‘Fed 풋’(Fed가 금리를 인하해 시장을 부양) 기대는 꺾였다. 파월 의장은 ‘증시가 급락하면 Fed 풋을 기대해도 되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라며 “시장은 원래 취지대로 작동하고 있고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고 답했다. Fed 개입 가능성이 희박해지면서 이날 미국 증시는 급락했다. 다우존스와 S&P500 지수는 각각 1.73%, 2.24% 하락했고 나스닥지수는 3.07% 떨어졌다.

Fed 인사들 상당수가 파월 의장과 같은 금리 인하 신중론을 펴고 있다. 이날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잘못된 방향으로 빨리 움직이는 것보단 천천히 올바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게 낫다”고 말했다. 지난 13일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도 “Fed의 역할은 인플레이션 기대를 고정해 경기 변동을 관리하는 것”이라며 “금리가 더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게 주된 임무”라고 강조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12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