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공동주택 화재, 겨울보다 여름에 더 발생…에어컨 화재가 33%
-
1회 연결
본문

경기도의 한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한 모습. 에어컨 실외기로 인한 화재가 다수를 차지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 기숙사 등 공동주택 화재가 겨울보다 여름철에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상당수는 에어컨에서 난 화재였다.
23일 경기도소방재난본부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도내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 3621건을 분석한 결과 여름철에만 1020건(28%)이 발생했다. 겨울 26%(948건), 가을 23%(832건), 봄 22%(821건)이 뒤를 이었다.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는 전체 화재 사고의 55%를 차지했다. 원인으론 부주의(44%·1609건)와 전기적 요인(37%·1337건)이 가장 많았다. 절반 이상(2454건·68%)이 전기 기기로 인한 화재였고 주방기기(808건), 계절용기기(579건), 배선기구(278건) 등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계절용기기 화재(579건)의 33.2%(192건)가 에어컨을 사용하다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기장판·담요로 인한 화재는 121건(20.9%), 열선 화재는 80건(13.8%)이다. 에어컨 화재의 85%(163건)는 여름철에 발생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에어컨 화재의 대부분이 실외기 과열 등에서 시작된 불”이라고 말했다.
이 기간 공동주택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총 55명으로, 아파트에서만 23명(52%)의 사망자가 나왔다. 절반에 가까운 12명이 새벽 시간(자정에서 5시까지)에 사망한 것으로 드러나 다른 시간대보다 새벽 시간의 위험률이 높았다. 아파트 화재 사망자 23명 중 87%(20명)는 스프링클러가 없는 건물에서 나와 소방시설 설치 여부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김재병 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은 “에어컨과 가스레인지처럼 익숙한 전기제품일수록 사용할 때 방심하는 것이 가장 큰 위험요인”이라며 “본격적으로 여름철이 시작되기 전에 실외기 점검 등을 통해 화재를 방지해달라”고 당부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