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北 IT 기술자, 혈맹 중국 군사기술 탈취…공안에 체포·구금"
-
2회 연결
본문

노트북. 연합=OGQ
중국에 파견된 북한 정보기술(IT) 인력이 중국 군사기술을 탈취한 사실이 현지 당국에 최근 적발된 것으로 전해졌다.
29일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노동당 군수공업부 산하 조직이 중국 선양으로 파견한 IT 기술자 A씨가 지난달 노트북 PC를 소지한 채 현지 숙소를 이탈해 잠적했다가 중국 공안에 체포·구금됐다.
중국 공안의 수사 과정에서 A씨의 노트북에서 중국 무기 등 군수 기술을 해킹한 정보가 쏟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공안의 추궁에 A씨는 중국 군사기술 정보 탈취행위를 모두 자백했다고 한다.
A씨가 검거된 사실을 알게 된 북한은 같은 장소에서 활동한 IT 인력 전원을 긴급하게 북한으로 복귀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중국을 상대로 한 정보수집 활동이 노출될 것을 우려해 이같이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 연계 해킹 조직이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군수 기관·기업을 상대로 정보 탈취를 시도하는 것은 여러 차례 확인됐으나, 혈맹인 중국을 상대로 정보를 취득하려다 적발된 것은 이례적이다.
대북 소식통은 "이번 사건은 북한이 군사력 강화를 위해 해킹 공격 범위를 중국으로까지 확대한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A씨를 중국에 파견한 군수공업부는 노동당의 군수공업 정책을 집행하는 기관이다. 핵·미사일 개발 프로그램 등 주요 국방사업 전반을 담당한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대상이다.
이 기관은 북한 정찰총국 및 국방성과 마찬가지로 온라인에서 외화벌이나 방산 기술을 탈취하는 IT 인력 조직을 운영하는 것으로 한미 당국의 수사에서 여러 차례 확인됐다. 한국 외교부가 지난해 말 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313총국'도 군수공업부 산하 기관이다.
군수공업부나 정찰총국이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 해외 곳곳에 파견한 IT 인력들은 여러 명이 합숙하며 가상공간에서 위장 신분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A씨의 PC에서 발견된 중국의 군사기술 정보가 구체적으로 어떤 종류인지는 파악되지 않았다. 다만 북한이 최근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무인기 관련 정보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북한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경험을 활용해 소형 무인기 개발과 무인기 운영체계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