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해킹 우려에 이틀간 SKT 가입자 7만명 이탈
-
1회 연결
본문

가입자 유심(USIM) 정보를 탈취당한 SK텔레콤이 유심 무료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지 이틀째인 29일 서울 시내 한 SKT 대리점에 시민들이 줄을 서서 교체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해킹 사태 여파로 7만 명에 달하는 SK텔레콤 이용자가 유심 무상 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지 이틀 만에 다른 통신사로 갈아탄 것으로 집계됐다.
3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가입자 3만5902명이 29일 다른 통신사로 번호이동했다. 28일에는 3만 4132명의 가입자가 갈아탔다. 이틀간 7만 34명이 이탈한 셈이다.
KT로 간 가입자 2만1002명 가운데 2만294명이 SK텔레콤에서 온 번호이동이었고, LG유플러스로 번호 이동한 1만6275명 가운데 SK텔레콤에서 온 경우가 1만5608건에 달했다.
KT와 LG유플러스에서 SK텔레콤으로 이동한 가입자는 3262명으로 29일 SK텔레콤의 가입자 순감 규모는 3만2640명이었다.
KT 가입자는 1만8829명, LG유플러스는 1만3811명 각각 순증하며 SK텔레콤 번호이동 수요를 흡수했다.
알뜰폰으로 이동한 이용자까지 합하면 이탈 규모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해킹 사고 발생으로 SK텔레콤 가입자 이탈 규모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면서 1위 통신사로서 최대 위기를 맞게 됐다.
SK텔레콤의 가입자 이탈 현상이 본격화하면서 2·3위 사업자인 KT와 LG유플러스는 보조금 규모를 늘리면서 가입자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일부 대리점에서는 이날 KT로 번호이동하는 경우 삼성의 최신 모델인 갤럭시 S25 기본 모델을 공짜폰으로 구매하고 25만원 페이백을 받을 수 있다고 홍보했다.
LG유플러스로 번호이동하는 경우에는 같은 모델에 대해 33만원의 페이백을 제공한다.
SK텔레콤 또한 보조금 규모를 키우면서 가입자 이탈을 막고 있다.
통신업계에서는 SK텔레콤이 해킹 사실을 문자 공지 등 하지 않고 소극적으로 고지한 점, 유심 재고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무상 교체에 나선 점 등 초동 대처에 실망한 가입자들의 이탈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