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또 대행’ 최상목, 2일부터 경제회복·대외협상·선거관리 1인3역
-
1회 연결
본문
한덕수 국무총리 대통령 권한대행이 사퇴하면서, 다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정 책임을 이어받는다. 국가 경제가 역성장을 기록하고 세계는 ‘관세 전쟁’에 휩싸인 가운데, 경제부총리 두 번째 권한대행을 맡는 초유의 상황이다.

지난달 29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한덕수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한 모습. 대통령실사진기자단
1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2일 0시부터 공식적으로 권한대행직을 물려받는다. 최 부총리는 절차에 따라 우선 합동참모의장 등에 안보 관련 지시를 내리며 권한대행 역할을 다시 시작할 전망이다. 한 달여간 경제정책 등 국정 운영과 관세 협상 등 대외 현안 대응, 공정한 선거 관리까지 1인 3역을 떠안는다.
권한대행을 실무적으로 지원할 기재부는 다시 긴장 상태에 들어간다. 국회를 통과하는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의 빠른 집행과 관리가 기재부의 최대 현안 중 하나다. 올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0.2%를 찍으면서 정치권에선 다음 정부에서 올해 2차 추경을 편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중이다.
최 부총리는 당장 다음 주부터 임시 국가 정상으로서 해외 일정을 소화할 전망이다. 오는 7일 예정된 체코 원자력발전소 수출 계약 체결식에 대통령 권한대행의 참석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당초 최 부총리는 3일 출국해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아세안+3(동남아시아국가연합+한·중·일) 재무장관 회의와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에 참석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권한대행을 맡으며 기재부 장관으로서의 모든 일정은 재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다.
미국과의 통상협의에는 불확실성이 있다. 지난달 미국에서 열린 재무·통상 ‘2+2’ 협의에선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의 요청으로 최 부총리가 참여했지만, 향후 협상에 최 부총리가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정부는 ‘7월 패키지’ 합의 타결까지 협상의 주요 결정을 다음 정부로 최대한 넘긴다는 방침이다.
단 실무적으로는 앞선 대행 때보다는 국정 운영이 안정적일 수 있다는 게 기재부 내부의 관측이다. 지난 3월까지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던 추경이 국회를 통과하고, 미국과의 통상협의도 큰 판은 어느 정도 짜여 있기 때문이다. 기간도 기약이 없었던 지난 대행 때와 달리 이번 대행은 6월 3일까지 한 달여로 정해져 있다.
기재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부총리가 앞서 대행을 맡을 때는 무안 제주항공 참사나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 등 대형 사건이 이어졌다”며 “남은 기간 그런 큰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경제 현안에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또 다른 기재부 관계자는 “이제는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선거 관리 역할이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특히 연쇄적인 국정 책임자 교체로 인한 대외 신인도 불안을 달래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의 지적이다. 강인수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한국이 추경을 통해 꺼져가는 경제 동력을 살리는 노력을 하고 있고, 미국과의 협상에서도 차기 정부를 위한 정지(整地) 작업을 충실히 해두고 있다는 것을 대외적으로 잘 알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앞서 최 부총리는 한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에 대해 “대외 신인도 차원에서도 정치적 불확실성이 낮아지길 바란다”며 우회적으로 우려의 뜻을 밝힌 적이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