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WTI 4년 만에 60달러선 붕괴

본문

국제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선 아래로 내려갔다. 4년 만에 처음이다. 경기 침체로 수요는 감소하는데 주요 산유국은 공급을 늘릴 것이란 전망이 유가를 주저앉혔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2.21달러(3.7%) 떨어진 58.8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60달러 선을 내주면서 2021년 3월 23일(57.76달러) 이후 4년1개월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추락했다.

이날 브렌트유는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1.13달러(1.8%), 두바이유는 2.08달러(3.2%) 하락하면서 각각 63.12달러, 62.53달러를 기록했다.

트럼프 정부 관세 정책으로 원유 수요 둔화 우려가 팽배한 상황에서 미국 경제 지표마저 꺾이자, 국제유가는 그 충격을 고스란히 받았다. 올해 1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은 전 분기보다 0.3%(연율 기준) 감소했다. 미국 분기 GDP가 역성장한 건 2022년 1분기 이후 처음이다.

국제유가를 끌어내린 건 수요 둔화 우려뿐만이 아니다. 이날 로이터통신은 사우디아라비아가 감산을 철회하고 되레 원유 생산량을 늘릴 것이라고 보도했다. 사우디를 중심으로 한 산유국 확대 협의체인 OPEC+는 오는 5일 열릴 회의에서 생산량 확대 여부를 논의한다. 미즈호 증권의 로버트 야거 애널리스트는 “사우디가 2020년처럼 생산량을 늘릴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해외 투자은행(IB)은 국제유가 전망을 줄줄이 하향 조정하고 있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조사 결과 골드만삭스와 JP모건, 모건스탠리는 WTI 가격이 올해 평균 배럴당 64.6달러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달 만에 전망치를 3.76달러(5.5%) 내렸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40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