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무릎주사도 41% 늘었다, 비급여에 줄줄 샌 실손보험금

본문

과잉 진료의 그림자

비급여 주사와 도수 치료를 받는 사람이 늘면서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 지급액이 지난해 1조원가량 급증했다.

1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실손보험 사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지급 실손보험금은 15조2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조1000억원(8.1%) 늘었다. 주범은 비급여 치료였다. 지난해 비급여 주사제(2조8000억원)와 도수 치료 등 근골격계 질환 치료(2조6000억원)에 나간 실손보험금은 5조4000억원이었다. 이는 전체 지급 보험금의 35.8%로 같은 시기 암 치료에 쓰인 실손 보험금(1조6000억원)의 3배를 웃돌았다.

비급여 주사제 실손보험금은 전년 대비 2023년 25.3% 급증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15.8% 늘었다. 도수 치료 등 근골격계 질환 관련 실손보험금도 전년 대비 2023년(12%)과 2024년(14%) 모두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무릎줄기세포주사(645억원)와 전립선결찰술(438억원) 같은 새로운 비급여 의료기술에 나간 실손보험금도 전년 대비 각각 40.7%·29.1% 급증했다. 이 영향에 지난해 지급한 전체 실손보험금에서 비급여 보험금(8조9000억원)이 차지한 비중은 절반이 넘는 58.4%에 달했다.

지난해 실손보험금 지급이 가장 많은 곳은 의원(32.2%)이었고, 그다음이 병원(23.3%)·종합병원(17.3%)·상급종합병원(14.0%) 순이었다. 특히 비급여 실손보험금은 의원(37.5%)·병원(28.6%) 비중이 66.1%로 종합병원(12.3%)·상급종합병원(9.0%)을 크게 앞질렀다. 의원과 소규모 병원들이 비급여 치료를 중심으로 과잉 진료를 더 많이 했을 가능성이 큰 것이다. 보험 상품별로 보면 자기부담금이 0%인 1세대 상품의 평균 비급여 보험금 지급액이 4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2세대(25만4000원)·3세대(18만2000원)·4세대(13만6000원) 순이었다. 보험계약자가 부담해야 할 금액이 높은 보험일수록 비급여 보험금을 신청하는 사례가 적었다는 의미다.

다만 지난해 실손보험의 적자액은 1조6200억원으로 전년보다 3500억원 감소했다. 이는 1·2세대 실손보험을 중심으로 보험금을 지속해서 올린 영향이라는 게 금감원 설명이다. 금감원은 “이는 보험금 누수 방지가 아닌, 보험료 인상에 따른 것이므로 국민의 경제적 부담 가중은 계속됐다”고 했다. 실제 지난해 40대 남성의 한 달 실손보험료는 2세대 상품 기준 평균 4만원으로 2021년(3만원)에 비해 5% 늘었다. 2023년부터 본격 보험료를 올리기 시작한 3세대 상품은 2021년(1만6000원)에 비해 지난해(2만4000원) 보험료가 20% 올랐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35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