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시리아와 관계 정상화 나선 트럼프…‘아브라함 협정’ 확대 포석

본문

17472817195284.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14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 대통령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동 순방에서 단연 눈에 띄는 행보는 시리아와의 관계 정상화 시도다. 이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 집권 1기 때 체결한 ‘아브라함 협정’의 외연을 차제에 더욱 확대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아브라함 협정은 트럼프 대통령 주도로 2020년 9월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 바레인ㆍ아랍에미리트(UAE) 간에 맺은 평화 협정으로 트럼프 1기 행정부의 주요 외교 성과 중 하나로 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첫 순방국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 대통령과 만나 약 30분간 이야기를 나눴다. 미국과 시리아 정상 간 만남은 2000년 당시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하페즈아사드 시리아 대통령과 회담한 이후 25년 만에 처음이다.

시리아에 아브라함 협정 참여 촉구

두 정상의 이번 만남은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시리아에 대한 모든 제재를 해제할 것이라고 전격적으로 발표한 지 하루 만에 이뤄진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 사우디투자포럼 연설에서 “우리 정부는 미국과 시리아 관계 정상화 회복을 향한 첫 조치를 취했다”며 대(對)시리아 제재 해제 방침을 밝혔다. 연설을 듣고 있던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이 대목에서 박수를 치고 가슴에 손을 얹는 장면이 포착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제재 해제 발표에 시리아 외무부는 같은 날 성명을 내고 “시리아에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환영했다.

17472817196849.jpg

14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오른쪽)와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 대통령(왼쪽)이 만나 반갑게 악수하는 모습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켜보고 있다. AP=연합뉴스

이후 하루 만에 시리아 임시 대통령을 만난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아브라함 협정에 시리아도 참여할 것을 촉구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중동 순방을 자신이 외교 성과로 자랑하는 아브라함 협정의 ‘2차 확장’ 계기로 삼으려 한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알샤라 대통령과의 만남에서 “앞으로 아브라함 협정에 더 많은 국가를 계속 추가할 것”이라고도 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오랜 숙원 중 하나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스라엘의 관계 정상화를 염두에 둔 발언이다. 사우디는 그간 가자지구 전쟁의 종식과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창설 없이는 이스라엘과의 국교 정상화는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과 알샤라 대통령 간 정상회담에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동석하는 등 이전보다 누그러진 분위기 속에서 관계 개선의 전환점이 마련될지 주목된다.

“4~6개국, 아브라함 협정 동참 확신”

17472817198391.jpg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특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동 순방 직전 이뤄진 인터넷 매체 브레이바트 인터뷰에서 진행자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브레이트바트 홈페이지 캡처

아브라함 협정의 외연 확대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신임이 두터운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도 최근 친트럼프 성향 인터넷 매체 브레이트바트와의 인터뷰에서 의미심장한 발언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순방 직전에 이뤄진 인터뷰에서 위트코프 특사는 “아브라함 협정이 수개월 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커다란 에너지가 있다”며 “모두가 러시아ㆍ우크라이나, 가자지구와 같은 커다란 (종전)협상에 집중하고 있지만 우리는 아브라함 평화 협정에 국가들을 더 끌어들이는 데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위트코프 특사는 특히 “레바논과 시리아로부터 강한 긍정적 반응이 있었다”며 이들 두 국가의 아브라함 협정 동참 가능성을 높게 봤다. 그는 또 “리비아도 가능성이 있고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 간 분쟁도 최종 해결에 매우 근접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몇 달 내 4~6개국이 아브라함 평화 협정에 서명할 것을 확신한다”고 했다. 사우디와 이스라엘의 관계 정상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아주 가까운 시일 내 어떤 식으로든 (사우디가 요구하는) 가자지구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며 희망적으로 전망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17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