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민검증단, 한국연구재단·학회에 이진숙 연구부정 심의 요청

본문

17528302881664.jpg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를 들으며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뉴스1

김건희 여사의 논문 검증에 참여했던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18일 한국연구재단과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에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심의를 요청했다.

검증단이 표절 심의를 요청한 논문은 이 후보자의 2018년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평가 연구’다. 검증단은 공문에서 “지도교수로서 제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지도하면서 제자의 학위논문 증 일부를 활용해 해당 논문을 게재했다”며 ‘이 과정에서 박사학위 논문 일부를 그대로 인용하면서 어떠한 인용 표시를 하지 않고, 제1 저자로 출간하며 연구비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논문 표절과 연구 부정행위가 명백함에도 최근까지 이 문제가 제기되지 않은 이유는 연구자의 연구윤리 위반 행위가 충남대에서 제대로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학문 발전과 공정이 통하는 사회를 건설하고 제자가 피해를 보지 않기 위해 위 논문의 심의를 요청한다”고 이유를 밝혔다.

17528302883675.jpg

범학계 국민검증단이 한국연구재단에 발송한 심의 요청서


와 관련 이 후보자는 지난 1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 이공계의 관행을 들어 “대부분 학생이 학위논문을 (발표)하기 전에 제가 국가 연구 프로젝트로 수주해서 연구 책임자로 수행했던 연구들"이라며 "(제가) 제1 저자가 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검증단은 지난 14일 이 후보자의 논문을 자체적으로 검증한 결과를 발표했다. 검증단에는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등 11개 교수단체 모임이 참여 중이다. 검증단은 ‘제자의 학위 논문임을 밝히지 않고 본인을 제1 저자로 학술지에 발표한 경우’(8건)를 포함해 모두 21건이 문제 있다고 결론 내렸다. 일부 논문은 표절률이 56%에 달했다고 주장했다.

검증단은 “교육부 수장의 논문 표절 문제는 김건희씨 논문 표절과는 비교 안 될 정도로 파장이 클 것”이라며 “이 후보자의 과오를 묵인한다면 대학 현장에서는 보고서와 학위논문 심사에 이중 잣대를 들이대야 한다”고 지적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8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