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눈 감은 게 휴가"라던 워커홀릭 李, 휴가지 '저도&…
-
8회 연결
본문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8.1 xxxxxxxxxxxxxxxx (끝)〈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두 달만에 첫 휴가를 떠난다. 휴가지는 경남 거제 인근의 저도다. 대통령실은 지난 1일 “이 대통령은 주말인 2일부터 거제 저도에 머물며 정국 구상을 가다듬고, 독서와 영화감상 등으로 재충전의 시간도 가질 예정”이라며 “휴가 기간에도 민생 등 주요 국정 현안은 계속 챙기겠단 방침”이라고 밝혔다. 공식 휴가 기간은 4∼8일이지만, 휴일부터 치면 일주일간 재충전 시간을 갖는 셈이다.
‘워커홀릭’으로 소문난 이 대통령 주변에서는 휴가 결정 자체가 정치적 메시지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3일 취임 30일을 맞아 연 기자회견에서 “(성남시장 시절) 이상하게 제가 휴가 가면 비가 와서 수재가 난다든지 한다. ‘선출직 공직자가 휴가가 어디 있느냐, 눈 감고 쉬면 휴가고 눈 뜨고 일하면 직장이지’라면서 공식 휴가를 별로 안 가졌다”고 말해 대통령실 직원들을 순간 긴장시켰다.
여권 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지자체장 때나 민주당 대표 시절에도 아예 휴가를 안 가거나, 자택에서 업무를 봤다”며 “그랬던 대통령이 관저도 아닌 지방으로 멀리 휴가를 떠난다는 것 자체가 국정 운영이 안정적으로, 탄력을 받았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내부에서는 한·미 정상회담이라는 변수가 생겼는데도 이 대통령이 휴가를 감행하는 건 이미 타결된 양국 간 관세 협상 결과에 대한 자신감이 담긴 행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공직사회가 안정이 되면, 선장이 맨날 갑판 위에 올라가 항해사한테 지시를 안 해도 되는 것처럼 여유가 많이 생긴다”며 “그 체제를 휴가 갈 때까지 갖출 수 있을지 약간 의문이긴 한데, 잘하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첫 휴가지로 대통령 별장인 청해대(靑海臺)와 군사시설이 위치한 저도를 낙점한 걸 두고는 “안보 상징성이 큰 섬을 방문해 안보를 중시한다는 메시지를 중도·보수 진영에 폭 넓게 피력할 수 있을 것”(민주당 관계자)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여권에서는 정부가 해수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는 가운데 이 대통령의 휴가 행보가 경남(PK) 지역 민심을 한층 끌어올릴 것이라는 기대도 감지된다.

2022년 8월 여름휴가 중인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서울 종로구 대학로의 한 극장에서 연극 ‘2호선 세입자’를 관람한 후 배우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역대 대통령들은 통상 7월 말~8월 초에 휴가를 떠났다. 재충전 뿐 아니라 중요한 정국 구상에 골몰하는 시간이었다. 특히 취임 후 첫 휴가에서는 대통령의 정치적 결단이 이뤄지는 경우가 잦았다. 1993년 8월 첫 여름 휴가를 마친 직후 금융실명제법을 전격 발표했던 김영삼(YS) 전 대통령이 대표적이다. 당시 언론은 휴가지 이름을 딴 ‘청남대 구상’을 대서특필했다.
취임 초 국정 지지율이 20%대에 머물렀던 윤석열 전 대통령도 첫 휴가 직후 홍보수석을 교체하고 국정기획수석을 신설하는 등의 대통령실 개편을 단행했다. 당시 여론을 의식해 서울 서초동 자택에서 휴가를 보낸 윤 전 대통령은 서울 대학로에서 연극 ‘2호선 세입자’를 감상한 뒤 배우들과 저녁을 먹는 깜짝 행보로 국민 소통을 시도했다.

경남 거제 저도의 해군 휴양소를 찾은 2013년의 박근혜 대통령. 박 대통령은 해변에 ‘저도의 추억’이라고 썼다. [중앙포토]
2013년 박근혜 전 대통령 역시 첫 휴가 직후 비서실장과 수석비서관 4명을 일거에 교체했다. 당시 바닷가 모래사장에 ‘저도의 추억’이란 글씨를 새겨넣는 사진을 페이스북에 올렸는데, 지지층에서 큰 화제가 됐다.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이 저도를 애정해 1972년 청해대를 대통령 공식 별장으로 지정하고 함께 여름을 보냈던 기억을 소환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역대 대통령이 휴가를 쉽게 떠났던 건 아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1998년 IMF 외환위기로 휴가를 반납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2017년 첫 휴가를 강원도 평창에서 보냈지만, 이후 휴가철마다 불거진 대내외 악재로 3년 연속 휴가를 가지 못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역시 2004년 탄핵 정국, 2006년 북한 미사일 발사로 관저 휴가를 보내다 임기 마지막 해인 2007년 아프가니스탄 한국인 피랍사건으로 휴가를 취소했다.

2017년 7월 31일 문재인 당시 대통령이 강원도 평창 오대산 상원사길 등반 중 만난 어린이의 손을 잡아주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