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재만 남은 따개비 마을, 미소 되찾은 이유…"사람들 돌아왔잖아요" [스튜디오 48…

본문

17540868134357.jpg

지난 3월 대형 산불이 발생한 영덕 석리 마을 곳곳에 초록빛이 짙어가고 있다. 하지만 마을을 병풍처럼 둘러싼 산자락은 갈색으로 불에 탄 흔적이 아직 그대로다. 전민규 기자

17540868140559.jpg

3월 22일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사흘 후인 25일 저녁 석리 마을까지 번져 가옥이 불타고 있다. 배를 타고 바다로 대피한 주민들은 이 모습을 망연자실하게 지켜볼 수 밖에 없었다. 사진 김영기 씨

17540868146592.jpg

불이 난 3월 25일 저녁 마을 어른들이 작은 보따리와 손전등을 챙겨 배 위로 대피했다. 3월 말인데도 바람이 심하게 불어 몹시 추운 날이었다. 사진 김영기 씨

바닷가 언덕에 옹기종기 모여 있는 집들이 바위에 붙은 따개비를 닮아 ‘따개비 마을’이라 불렸다. 300년 넘는 세월 동안 고요하고 정겨움 가득하던 어촌 마을에 지난 3월 화마가 덮쳤다.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은 강한 바람을 타고 이곳 영덕군 석리 마을까지 다다라, 가옥 84채 중 78채를 흔적도 없이 태워버렸다. 고령의 주민들은 배에 몸을 싣고 바다로 피신했다. 불이 너무 빨리 번진 탓에 변변한 짐도 챙길 수 없었다. 산불 직후, 잿더미만 남은 마을의 모습은 전쟁터를 방불케 했다.

17540868153146.jpg

3월 26일 촬영한 불이 꺼진 후 영덕 석리 마을의 모습. 가옥 대부분이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불에 탔다. 사진 김영기 씨

17540868159884.jpg

산불로 집을 잃은 영덕 석리 마을 주민들이 지난 6월 초 입주해 지내고 있는 컨테이너 임시 숙소. 10평 남짓한 컨테이너 내부에 에어컨과 세탁기, TV 등 기본적인 살림살이가 갖춰져 있지만 올여름 무더위에 주민들이 애를 먹고 있다. 전민규 기자

그로부터 120여 일이 흐른 지금, 주민들은 임시 대피소를 벗어나 다시 마을로 돌아왔다. 재로 뒤덮였던 마을은 따가운 여름 햇살 아래에서 다시 ‘살아가는 곳’이 되기 위한 숨을 고르고 있었다.

17540868165285.jpg

석리 마을 이장 이미상 씨(왼쪽)와 노인회장 김영기 씨가 손을 맞잡고 환하게 웃고 있다. 마을로 돌아온 이들은 일상 회복을 위해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다. 전민규 기자

마을 이장 이미상 씨(64)는 요즘 하루가 어떻게 지나가는지도 모를 정도로 바쁘다. 지난 6월 초 주민들이 마을로 돌아왔지만, 생필품은 물론 생계 기반 하나하나를 다시 갖춰야 하기 때문이다. “임시 숙소만으로는 지내는 데 부족한 게 많아요. 에어컨이 있어도 안이 너무 답답하고 더워서 어르신들이 견디기 힘들거든요.” 마을 주민 평균 연령이 75세 이상 고령이라 더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1754086817145.jpg

석리 어르신들이 컨테이너 그늘 아래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입주한지 약 1달이 지났지만 주민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은 부족해 보였다. 전민규 기자

“그래서 컨테이너 사이에 그늘막이라도 설치해 달라고 건의하고 있어요.” 이 이장은 “행정하는 사람들은 이런 일을 겪어본 적이 없어서 그런지, 우리가 정말 필요한 게 뭔지 잘 모르는 것 같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17540868177942.jpg

김재봉 할아버지가 이른 아침 산불로 전소된 자신의 집터 한켠에 마련한 텃밭에 심은 고추에 농약을 주고 있다. 김 할아버지는 대피소에서 임시 숙소로 돌아온 후 속상한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 소소하게 작물을 키우기 시작했다. 전민규 기자

17540868184549.jpg

김재봉 할아버지가 산불로 전소된 사진의 집터에 서 있다. 올해 88살인 김 할아버지는 ″갑작스런 불로 인해 너무 불편한 삶을 살게 됐다."며 "언제 쯤 우리 집으로 다시 돌아 갈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전민규 기자

햇볕이 내리쬐는 마당 한구석. 김재봉 할아버지(88)는 고추밭에 농약을 뿌리고 있었다. 농약 통을 등에 메고, 땀을 뻘뻘 흘리며 텃밭 가꾸기에 여념이 없다. “(집이) 다 타버렸지만, 텃밭이라도 다시 가꿔야지요.” 석리에서 태어나 평생을 살아온 김 할아버지는 “이렇게 큰불이 날 거라고는 상상도 못 했다”며 “지금 생각해도 지옥 같던 날”이라고 고개를 저었다.

17540868190426.jpg

윤금자 할머니가 컨테이너 숙소에서 산불 당시를 떠올리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오른쪽은 남편 김재봉 할아버지. 전민규 기자

17540868196129.jpg

김재봉 할아버지와 윤금자 할머니가 지난달 입주한 자신의 컨테이너 숙소에서 손을 잡고 포즈를 취했다. 윤 할아버지는 "불편하지만 대피소 생활 보다 낫다"며"나라가 부자라서 무상으로 제공 받은 주택에서 살 수 있어 고맙다"라고 말했다. 전민규 기자

김 할아버지의 아내 윤금자 할머니(83)는 당시의 충격으로 안면 마비 증세까지 왔다고 털어놨다. “사람 말이 귀에 안 들어올 정도였어요. 누가 말을 걸어도, 얼굴을 봐도 제정신이 아니었죠.” 그녀는 “서울, 포항 등 전국에서 온 의료진들이 침도 놓고 약도 챙겨줘서 이제는 많이 나아졌다”며 연신 감사한 일이라고 말했다.

17540868201305.jpg

장을 보러 영덕으로 가기 위해 버스를 탄 윤금자 할머니가 기자를 향해 환하게 웃으며 손을 흔들고 있다. 전민규 기자

 윤 할머니는 장이 서는 날이면 버스를 타고 영덕 시장까지 혼자서 다닐 만큼 건강을 회복한 상태다.

17540868207145.jpg

어르신들을 위해 점심을 준비한 박정래 씨(67)가 임시 마을회관에서 어르신들과 함께 활짝 웃고 있다. 노인회장이 남편인 박 씨는 울산이 집이지만 산불 이후로 이곳에 남아 어르신들의 점심을 책임지고 있다. 전민규 기자

1754086821316.jpg

영덕 석리 임시 노인회관에서 어르신들의 점심식사가 준비되고 있다. 전민규 기자

정오 무렵, 마을 임시 노인회관에 하나둘 어르신들이 모여든다. “오셨니껴?” 김영기 노인회장(71)이 반갑게 인사하며 자리를 안내한다. 김 회장은 산불로 마을회관이 불에 타자 자신의 집을 어르신들을 위해 개방했다. 마무리 공사 중인 새 회관은 9월 초 입주 예정이다. 김 회장은 “지금은 많이 나아졌지. 처음엔 서로 말도 못 꺼냈어”라며 당시를 떠올린다. 하루도 빠짐없이 어르신들은 이곳에서 점심을 해결한다. 이곳이 마을의 사랑방이 됐다.

17540868219644.jpg

영덕 석리 노인회관에서 어르신들이 점심식사를 하고 있다. 식사는 마을에서 십시일반 모은 돈과 군에서 지원 받는 비용으로 준비한다. 전민규 기자

식탁에 오르는 반찬은 매일 자식들이 볼 수 있도록 온라인 커뮤니티에 사진을 찍어 올린다. 김 회장은 “엄마, 아빠가 뭘 먹었는지, 식사를 거르지는 않았는지 알 수 있는 연결고리”라며 “식사 후에는 어르신들과 함께 이런저런 이야기도 하며 마음을 추스른다”고 말했다.

17540868225689.jpg

요양 보호사 김미경 씨가 컨테이너 숙소에서 자신이 먹는 약을 보여주고 있다. 김 씨는 이번 산불로 어르신들과 함께 대피하던 중 사고로 인해 몸과 마음을 크게 다쳤다. 전민규 기자

“두 분은… 끝내 못 나왔어요.” 마을 주민인 요양보호사 김미경 씨는 산불이 나던 날 할머니 네 명과 함께 피난을 시도했다. 하지만 불길이 순식간에 이동 중인 차량까지 덮쳤다. 한 명을 간신히 부축해 차에서 빠져나왔지만, 나머지 세 명은 끝내 탈출하지 못했다. 차는 폭발했고, 그 파편이 눈에 박혀 최근 병원에서 제거 수술을 받았다. 그날 이후 차에 갇힌 할머니들이 살려달라고 외치는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요즘도 그녀는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다. “눈 뜨면 약을 20분 단위로 자기 전까지 먹어야 해요. 그래도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 덕분에 최근에는 악몽을 꾸지 않는 날이 많아졌어요.”라며 김 씨는 그 날 할머니들을 구하지 못한 죄책감에 고개를 떨궜다.

17540868231515.jpg

이진걸 씨가 지난달 초 입주한 자신의 컨테이너 숙소에서 바깥 풍경을 바라보고 있다. 이 씨는 ″이번 산불로 가장 마음 아픈건 가족사진을 한 장도 챙기지 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전민규 기자

컨테이너 앞에 앉아 말없이 바깥을 바라보던 이진걸 씨(65). 젊은 시절 사고로 한쪽 손을 다쳐 장애를 얻었다. 생활이 힘들어지자 아내와 이혼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홀로 지내왔다. 힘겹게 버티던 삶에 이번에는 산불이 덮쳤다. 살던 집과 함께 애지중지 타고 다니던 오토바이도 사라졌다. “집은 다시 지으면 되고, 오토바이도 다시 살 수 있어요. 근데 부모님 사진은…” 이 씨는 말을 잇지 못했다 “그럴 겨를도 없었어요. 불이 너무 빨리 번져서…” 불에 타버린 사진이 이 씨에게는 가장 큰 상실이었다. “이젠 제삿상에 놓을 부모님 사진도 없어요. 사진이 없어지니 추억도 같이 사라진 것 같아서… 너무 아쉽죠.”

17540868237377.jpg

이진걸 씨가 자신의 컨테이너 숙소 앞에서 새로 구입한 오토바이를 타고 있다. 이 씨는 ″새 오토바이를 타고 이곳 저곳 다시 다녀볼 것″이라며 좋아했다. 전민규 기자

다음 날, 이 씨가 오토바이를 몰고 나타났다. 새로 산 애마에 올라 탄 이 씨가 함박 웃음을 지어 보였다. 비록 집과 함께 사진도 다 타버렸지만, 이제 언제든 원하는 곳으로 떠날 수 있게 됐다며.

1754086824326.jpg

전정영 할머니가 화마가 피해 간 자신의 집을 찾았다. 다행이 화마를 피했지만 연기 그을음 등이 집 곳곳에 배어들어 사실상 가전, 집기 등은 쓸 수 없는 상태가 됐다. 전민규 기자

전정영 할머니(83)는 다행히 집을 잃지 않았다. 운 좋게 화마를 피한 6가구 중 하나였다. 하지만 산사태 위험이 있다는 마을 이장의 판단에 따라 임시 숙소에 입주했다. 집은 그대로 있지만, 이재민으로 살아야 하는 복잡한 처지가 됐다. 전 할머니는 평생을 해녀로 살았다. 고된 삶이었지만 자식들도 훌륭하게 잘 자라줬다. 객지로 하나 둘 떠나고 홀로 살던 중 화마가 닥쳤다. “마을 전체를 도시재생사업 한다고 하던데, 그럼 우리 집은 어찌 되는 건지…”, “죽기 전에 다시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라며 걱정스러운 표정을 지었다.

17540868249105.jpg

전정영 할머니가 본인의 집 마당 평상에 앉아 주변을 둘러보고 있다. 전 할머니 뒤로 불에 탄 산이 보인다. 불에 탄 나무의 뿌리가 약해져 산사태 위험이 있어 전 할머니도 이재민으로 살아가고 있다. 전민규 기자

전 할머니뿐 아니라 마을 주민 대부분이 고령이다 보니, 금전적 문제는 물론 긴 공사 기간도 부담이다. 언제 새 집을 지어 돌아갈 수 있을지 마을의 숙제가 됐다. 산불로 가옥이 전소된 가구는 지원금을 받았지만, 전 할머니의 경우는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상태다.

17540868255432.jpg

마을에 생필품을 싣고 온 상인이 오자 마을 어른들이 자리에 앉아 물건을 고르고 있다. 전민규 기자

그날 오후 컨테이너 숙소 앞에 생필품을 가득 실은 봉고차가 도착했다. 베개, 셔츠, 양말 등이 펼쳐지고 어르신들도 하나둘 모였다. “이거 얼마예요?” 전춘자 할머니(82)가 길쭉한 베개를 보며 묻는다. “제가 사드릴게요.” 곁에 있던 손자 이성찬 군이 말했다. 인천에서 혼자 할머니를 찾아온 성찬 군은 주머니 속에서 100원짜리 동전 50개와 만 원짜리 한 장을 꺼내 보여줬다.

17540868261804.jpg

전춘자 할머니가 손자 이성찬 군이 사준 베게와 셔츠를 손에 들고 환하게 웃고 있다. 전민규 기자

그 돈으로 할머니에게 베개와 셔츠를 사 드렸다. 그 모습을 바라보던 어르신들 얼굴에 덩달아 미소가 가득 피어올랐다. 베개를 품에 안은 할머니의 표정이 유난히 행복해 보였다.

175408682677.jpg

컨테이너 임시 숙소가 설치된 영덕 석리 마을에 여명이 밝아오고 있다. 전민규 기자

17540868273863.jpg

긴 세월 마을 어귀를 지키던 고목도 불에 탄 뒤 잘려 나가고 밑둥치만 남았다. 전민규 기자

17540868280171.jpg

석리 마을 항구에 있는 표지석. 해마다 휴가철이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마을이었지만 지금은 관광객 발길도 뜸해졌다. 전민규 기자

화마로 입은 상처를 복구하는 일은 현재 진행형이다. 아니 언제 끝날지 모르는 일이다. 수리중인 전봇대, 불에 타 밑둥치만 남은 고목, 주인을 기다리는 텅빈 집 터가 사람들의 손길이 닿아 조금씩 회복되어 가는 중이다. 재만 남았던 땅에 다시 고추가 자라고, 텃밭이 일구어지고 있다. 밥을 지어 함께 나누고, 그늘 아래 사람들이 모여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눈다.

17540868287034.jpg

공공근로를 마친 석리 마을 어르신들이 마을 어귀에 성경문구가 적혀있는 공간에 모여 쉬고 있다. 힘든 상황에도 어르신들은 웃음을 잃지 않았다. 전민규 기자

“아무것도 남지 않았지만, 사람이 돌아왔잖아요.” 마을 어르신의 이 한마디가 지금 석리 마을의 여름을 가장 잘 말해준다. 잿더미 위에서도 사람들은 다시 살아간다. 갑작스러운 산불로 큰 상처를 입었지만, 이제 서로의 체온으로 상처를 치유하며 따개비 마을은 조금씩 회복해 가고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8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