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트럼프 경고엔 "됐고"…25% 관세폭탄 받고도 느긋한 인도, 왜

본문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중단하라”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경고를 받고도 수입 철회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에서 25% 고율 관세를 통보받고도 느긋한 태도를 보이는 건 인도의 안보와 경제 구조에 믿을 구석이 있어서란 분석이 나온다.

17542199539055.jpg

1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에서 학생들이 미국의 25% 관세 부과를 비판하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인도 총리 나렌드라 모디의 초상화를 그리고 있다. AP=연합뉴스

뉴욕타임스(NYT)는 2일(현지시간) 인도 고위 당국자 2명을 인용해 “러시아 원유 구매 계획에 대한 인도의 정책 변화는 없다”고 보도했다. 란디르 자이스왈 인도 외무부 대변인 역시 전날 기자들과 만나 “어떤 나라와 양자 관계는 그 자체로 가치가 있으므로 제 3국의 시각에서 바라보면 안 된다”며 “인도와 러시아는 오랜 기간 검증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고 확인했다.

미국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 협상 테이블로 나오도록 러시아의 원유 수출을 옥죄려 하고 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이런 맥락에서 지난달 30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인도가 러시아 에너지의 최대 구매국이 됐다”며 러시아산 원유 수입 중단을 요구했다. 그러나 러시아산 원유 수입에 변함이 없다는 인도의 입장 발표는 미국을 향해 사실상 반기를 든 것이다.

인도가 이렇게 할 수 있는 건 안보와 경제에서 ‘수퍼 을’이기 때문이다. 미국이 중국 견제를 위해 세운 ‘인도·태평양 전략’상 인도는 필수불가결한 위치에 있다. 미국 입장에서 인도는 인도양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해양 팽창과 일대일로 전략을 저지하는 데 핵심 역할을 맡아야 한다.

1754219954113.jpg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지난 2월 백악관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인도의 경제 구조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인도 전체 수출 규모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7%로 큰 편이지만, 인도 국내총생산(GDP) 가운데 수출은 약 20%에 불과하다. GDP 대비 수출 비중이 40%가 넘는 한국 등과 비교했을 때 내수로 버틸 여력이 적지 않다는 의미다.

물론, 미국 역시 호락호락하게 넘어가지 않는다는 관측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파키스탄과 무역 협상을 마무리했다”며 “대규모 석유 매장량을 개발하기 위해 파키스탄과 협력하겠다. 언젠가 인도에 석유를 판매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인도의 앙숙 파키스탄을 앞세워 대놓고 인도를 자극한 것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54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