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 달 걸린 설계 8시간 만에……LG디스플레이 AI제조 혁신 본격화
-
1회 연결
본문

5일 LG디스플레이의 'AX 온라인 세미나'가 진행됐다. 좌측부터 설계AI팀 이희동 팀장, 제조AI실 이영주 실장, EX팀 김도현 책임, R&D DX팀 안보슬 책임. 사진 LG디스플레이 유튜브 캡처
LG디스플레이가 ‘인공지능 전환(AX)’을 통한 생산성 혁신 성과를 공개했다. 정부가 AX를 주요 국정 과제로 추진 중인 가운데 핵심 제조업 분야에서 나온 첫 실증 사례다. 향후 LG디스플레이는 인공지능(AI) 적용을 확대해 적기 개발, 수율 개선, 원가 절감 등 핵심 경쟁력을 더 끌어올릴 계획이다.

5일 LG디스플레이의 'AX 온라인 세미나'에서 이희동 설계AI팀 팀장이 '엣지 설계 AI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모습. 사진 LG디스플레이 유튜브 캡처
5일 LG디스플레이는 ‘AX 온라인 세미나’를 열고 자체 개발한 ‘엣지 설계 AI 알고리즘’ ‘AI 기반 생산 체계’ 등의 주요 성과를 소개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각 부문 실무자들이 직접 출연해 눈길을 끌었다.
대표 사례인 ‘엣지 설계 AI 알고리즘’은 디자인이 다양하고 베젤이 좁은 최신 디스플레이의 설계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켰다. 최근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에는 직각이 아닌 둥근 모서리의 이형(異形) 디스플레이가 주로 사용돼 외곽부(엣지) 설계가 더 까다로워졌다. 이희동 설계AI팀 팀장은 “AI 설계 자동화와 최적화를 통해 기존에 3~4주 소요되던 작업을 8시간으로 줄였다”고 말했다.
AI를 활용한 생산 체계 혁신도 두드러졌다. LG디스플레이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제조 공정 전반을 학습시킨 AI를 통해 수율(정상 제품 비율)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렸다. AI가 24시간 실시간으로 패널 불량 원인을 다각도로 분석해 140개 이상의 제조 공정 중 문제가 발생한 지점을 자동 진단한다. 그 결과 과거 3주 이상 걸리던 품질 개선 작업이 2일로 줄고 수율 개선으로 연간 2000억원 이상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뒀다.

LG디스플레이 AI 어시스턴트 '하이디(Hi-D)'의 자동 통역 서비스. 사진 LG디스플레이
사무 영역에서는 자체 개발한 AI 어시스턴트 ‘하이디(HI-D)’를 도입해 챗GPT 등 외부 AI모델 구독으로 발생하는 연간 100억원 상당의 비용을 절감했다. 하이디는 LG AI연구원의 대형언어모델(LLM)인 ‘엑사원’을 활용했다.
LG디스플레이는 제품 개발, 생산, 사무 전 영역에 걸친 AX 혁신을 통해 3년 내 업무 생산성을 30% 향상시킬 계획이다. 앞으로 재료·소자, 회로, 기구 개발 분야에도 AI를 적용하고, 생산 분야에선 AI가 스스로 생산성 개선 방안 제안과 장비 개선 제어가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시킬 방침이다.
이영주 제조AI실 실장은 “중국 업체의 거센 추격 속에서 AI 활용 역량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AI 기술 자체는 중국도 우수하지만 이를 제조 특성에 맞게 통합해 활용하는 데 있어선 LG가 앞서 있다”고 강조했다. 정철동 LG디스플레이 최고경영자(CEO)는 “전사 차원의 AX 혁신을 통해 근본적인 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LG디스플레이만의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