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출 규제 약발 다했나...서울 아파트값 6주 만에 상승폭 확대

본문

17545439114301.jpg

서울 송파구와 광진구, 성동구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5주 연속 둔화했던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반등했다. 대출 규제 효과가 줄어들 조짐이 나타나면서 주택 공급 대책을 마련 중인 정부의 부담도 커졌다.

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14% 올랐다. 바로 전주(0.12%)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6주 만에 상승률 둔화가 멈췄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은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며 전반적인 수요는 위축됐다”면서도 “재건축 이슈 단지와 역세권·학군지 등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 거래가 체결되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6·27 대출 규제의 타깃이 된 지역 상당 수에서 상승폭이 커졌다. 서울에선 성동구(0.22→0.33%)의 오름폭이 가장 컸다. 광진구(0.17→0.24%), 강남구(0.11→0.15%), 마포구(0.11→0.14%) 등도 상승률이 올랐다. 경기도에선 성남 분당(0.47%)과 과천(0.34%) 오름폭이 전주보다 커졌다.

17545439116307.jpg

김영옥 기자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둔화가 6주 만에 멈추면서 정부도 주택 공급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연구실장은 “이번 대출 규제 효과는 3~6개월에 불과할 우려가 있다”며 “신속하고 강력한 공급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 눌려 있던 매매 수요가 살아나면서 올 4분기 중 집값이 다시 급등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부동산 R114에 따르면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2만8355가구로 올해보다 39.4% 급감할 전망이다.

시장에선 정부가 이르면 이달 안에 첫 주택 공급 대책을 발표할 전망이다. 검토되고 있는 주요 방안으론 ▶3기 신도시 조기 공급 ▶공공 주도 도심복합사업과 공공 재개발 ▶유휴 부지 개발과 국·공유지 활용 ▶지분적립형·이익공유형 주택 등 공공주택 공급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 등이 꼽힌다. 김윤덕 신임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달 31일 취임사를 통해 “최근 부동산 시장은 6·27 대출 규제 등으로 일시적인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며 "주택 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주택을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윤지해 부동산 R114 프로텝크리서치랩장은 “지난 5년간 발표된 대규모 공급 계획이 실제 착공과 준공으로 이어진 물량은 제한적이었다”며 “그간 다양한 공급 대책이 남긴 ‘계획과 실행의 간극’을 극복할 수 있을지가 조만간 발표될 새 대책의 성패를 가를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2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