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온통 챗GPT 세상인데, 우리만의 ‘소버린AI' 가능할까�…

본문

정보세계정치학회, 특별 세미나 개최

17549686796095.jpg

소버린AI

미국ㆍ중국으로 대표되는 거대 인공지능(AI) 강국이 글로벌 생태계를 지배하고 있는데, 우리만의 ‘소버린 AI’ 개발이 가능할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4일 ‘독자 인공지능 기초 모형(AI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에 참여한 10개 팀 중 네이버클라우드ㆍ업스테이지ㆍSK텔레콤ㆍ엔씨에이아이ㆍLG AI 연구원 등 5개 기업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6개월 단위의 압축과정을 거쳐 2027년 상반기를 목표로 최종 2개 팀을 선발할 계획이다.

정보세계정치학회(KAWPI)가 14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소버린 AI’와 한국형 AI 국가책략: 개념의 정립과 전략의 탐색‘을 주제로 특별세미나를 연다. 1부 세미나에서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가 ‘소버린 AI와 한국형 AI 국가책략: AI 업계의 시각’이란 제목으로 발표하는 데 이어, 백서인 교수의 ‘소버린 AI와 한국형 AI 국가책략: 기술경영공학의 시각’, 윤정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부연구위원의 ‘소버린 AI와 한국형 AI 국가책략: 정보세계정치학의 시각’ 발표가 이어진다. 세미나 2부에서는 맹성현 태재대 AI융합전략대학원장과 차상균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초대원장이 각각 ‘글로벌 경쟁 시대 한국의 AI전략’과 ‘한국의 AI전략: Beyond 소버린 AI’란 제목으로 발표한다.

17549686798533.jpg

소버린AI 특별 세미나

정보세계정치학회장을 맡은 김상배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는 “‘자주적 AI’ 또는 ‘주권적 AI’ 등으로 이해되는 ‘소버린(sovereign AI’에 대해서는 그 개념과 목표 및 접근 방식 등을 둘러싸고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며 “‘소버린’이라는 말에 휘둘려서 현 단계 한국의 미래 국가책략(statecraft) 차원에서 고민해야 할 문제를 놓치지 말자는 취지에서 이번 세미나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소버린 AI와 AI 국가책략을 주제로 하는 이번 KAWPI 특별세미나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정보세계정치학회 사무국(xxxxxxxxxxxxxxx; xx-xxx-xxxx)으로 문의할 수 있다.

로그인후 본문의 연락처 및 추천기능 사용이 가능합니다

0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72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