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김정은∙시진핑∙푸틴, 처음 한자리 모인다…내달 3일 中열병식 참석

본문

17563584090403.jpg

왼쪽부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중앙포토

다음 달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서기 겸 국무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해 3일 거행되는 중국인민항일전쟁 및 세계 반(反)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기념 활동에 참석한다고 북·중 양국이 28일 동시에 발표했다.

이날 승전 80주년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첫 기자회견에서 훙레이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는 9·3 전승절 행사에 참석하는 26명의 국가 정상을 발표하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다음으로 김 위원장의 이름을 불렀다.

훙 부장조리는 김 위원장 참석에 대해 “중국과 북한은 산과 물이 맞닿은 우호적인 이웃”이라며 “김 위원장의 참석을 열렬히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는 중국의 항일전쟁 및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이자 북한의 조국해방 80주년”이라며 “어려운 전쟁 시대에 중국과 북한 양국 국민은 서로 지지하며 함께 일본의 침략에 대항해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과 인류 정의 사업의 승리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고 강조했다. 또 “중·북 전통 우호를 잘 수호하고, 공고히 하며, 잘 발전시키는 것은 중국 당과 정부의 확고한 입장”이라면서 “중국은 북한과 교류 협력을 강화하고 사회주의 건설의 길에서 손잡고 나아가며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촉진하고 국제 공정과 정의를 수호하는 사업에서 긴밀히 협력해 중·북 전통 우호의 새로운 장을 써 나가기를 원한다”고 덧붙였다.

17563584092455.jpg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019년 6월 20일 북한 5.1 경기장에 운집한 10만 평양 시민에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시 주석 뒤를 따르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발걸음은 '시 주석 띄우기'의 대표적 모습이다. [중국 신화망 캡처]

김 위원장의 방중은 지난 2019년 1월 이후 6년 반 만이다. 김 위원장은 집권 이후 지난 2018년 3월 베이징, 5월 다롄, 6월 베이징을 각각 방문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19년 6월 평양을 방문했다. 이후 코로나 19 발생 이후 6년간 정상급 교류는 중단됐다.

9·3 전승절에 참석하는 정상은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 외에 캄보디아 국왕, 베트남 국가주석, 라오스 국가주석, 인도네시아 대통령, 말레이시아 총리, 몽골 대통령, 파키스탄 총리, 네팔 총리, 몰디브 대통령, 카자흐스탄 대통령,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타지키스탄 대통령, 키르기스스탄 대통령,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 벨라루스 대통령, 아제르바이잔 대통령, 아르메니아 총리, 이란 대통령, 콩고 대통령, 짐바브웨 대통령, 세르비아 대통령, 슬로바키아 총리, 쿠바 국가주석, 미얀마 대통령 대행 등 26개 국가 정상이다. 글로벌 사우스 위주로 톈진 상하이 협력기구 정상회담에 참석 예정인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열병식에는 참석하지 않는다.

한국 우원식 국회의장은 의회 대표 및 부총리급이 참석하는 6개 국가 중 가장 먼저 호명했다. 훙 부장조리는 “우원식 한국 국회의장, 페르난다 동티모르 국회의장, 로드리게스 베네수엘라 전국대표대회 의장, 옌진융 싱가포르 부총리, 와지르 이집트 대통령 특사 겸 부총리, 자피로프 불가리아 사회당 의장 겸 부총리” 순으로 참석자를 열거했다.

또 러시아·미국·영국·프랑스·캐나다 등 14개 국가 50여명의 친구 및 유족 대표가 초대를 받아 전승절 기념 활동에 참석한다고도 발표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20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