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국민을 위한 국민의 기업] ‘삶터·일터·쉼터’ 농촌의 희망을 밝히다

본문

농림축산식품부
행복농촌 만들기 콘테스트 12년
변화와 희망이 현실로 이어져 와
생활인구 유입 위한 지원도 함께

17570206826072.jpg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지역의 자율적 발전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2014년부터 ‘행복농촌 만들기 콘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마을만들기 분야’ 금상을 받은 충북 음성군 주민 공동체 ‘뚱단지공작단’의 공연 모습. [사진 농식품부]

대한민국 농촌은 오랜 세월 동안 우리 삶의 중요한 터전이었다. 한때는 단순히 곡식을 재배하고 생계를 이어가는 생산의 공간으로만 여겨졌지만, 이제는 주민과 정책이 함께 빚어내는 변화로 ‘살고 싶은 곳, 머물고 싶은 곳’으로 거듭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촌을 단순한 생산 현장이 아닌 누구나 풍요롭게 살아갈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삶터·일터·쉼터’라는 새 비전을 제시했다. 농촌 재생으로 주민들의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 생활 인구를 확대해 ‘희망이 실현되는 농업·농촌’의 미래를 그려가고 있는 것이다. 특히 2014년부터 이어온 ‘행복농촌 만들기 콘테스트’는 전국 농촌 곳곳에서 주민 주도로 이뤄진 혁신 사례를 발굴하고 널리 알려 ‘살기 좋은 농촌’을 만들어가는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주민 참여로 진화해온 12년의 여정

올해로 12회를 맞은 행복농촌 만들기 콘테스트의 여정을 살펴보면, 정부 정책과 주민 참여가 진화해온 과정을 알 수 있다.

2014년 제1회 대회는 ‘행복마을 만들기 콘테스트’라는 이름으로 시작됐다. 당시에는 경관·환경, 소득·체험, 복지·문화 등 3개 분야를 중심으로, 마을 단위에서 우수 사례를 발굴하고 시·군, 마을 간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첫 실험대였다. 이듬해에는 범위가 한층 넓어졌다. 마을을 넘어 지역 거점의 발전을 평가하는 ‘농촌만들기’ 분야가 신설됐다. 2020년은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정부의 마을만들기 사업이 지방으로 이양되면서, 대회 명칭도 ‘행복농촌 만들기 콘테스트’로 바뀌었다. 단순한 이름의 변화가 아니라 정책 기조가 ‘마을 중심’에서 ‘농촌 전반’으로 확대됨을 상징하는 신호였다.

2023년에는 평가 체계가 정교해졌다. 주민의 참여를 위해 ‘우수 주민’ 분야가 신설됐고, 기존의 마을만들기·농촌만들기 분야도 통합·개편됐다. 단일 사업 성과보다 주민의 주도성과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을 찾는 데 초점이 맞춰진 것이다.

지난해에는 농협 등 민간기관이 참여하면서 외연이 더 넓어졌다. 총 296개 팀이 참가했는데, 이는 콘테스트가 전국적으로 뿌리내린 주민 주도 농촌혁신 플랫폼임을 입증한다.

연도별 신청 규모를 보면 콘테스트의 위상이 더욱 뚜렷해진다. 2016년 2664건, 2018년 3220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에도 매년 2000건 이상 꾸준히 접수됐다. 농촌 현장에서 주민 스스로 혁신 역량을 키워가고 있다는 방증이다.

17570206828233.jpg

충남 당진시 ‘활력바라지복지회관’에서 운영 중인 꿈나무 쉼터(왼쪽)와 경북 의성군 ‘비안만세센터’에서 주민들이 풍물놀이를 배우는 모습.

주민의 손끝에서 피어난 변화

행복농촌 만들기 콘테스트를 통해 드러난 우수사례는 다양하다.

충북 음성군 원당2리의 주민 공동체 ‘뚱딴지공작단’(2024년 마을만들기 금상)은 마을 경관을 정비하고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도입하는 등 주도적으로 마을 환경을 개선해왔다. 또한 경로잔치와 장학금 지원 등 사회적 돌봄 활동을 이어오며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경북 의성군 비안면의 ‘비안만세센터’(2024년 금상)는 주민 스스로 운영하는 생활·문화 플랫폼이다. 마을카페, 공동작업장,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행정이 주도하는 시설’이라는 기존 틀을 벗고 주민이 곧 주인이 되는 구조를 보여줬다.

충남 당진시 면천면의 ‘활력바라지복지회관’(2024년 최우수상)은 주민의 숙원사업인 목욕탕, 작은 도서관, 꿈나무쉼터 등을 조성해 전 세대가 함께 어울리는 복지 거점으로 활용되고 있다.

전북 무주군의 선수진 대표(2024년 우수창업가 입선)는 지역 자원을 활용한 창업 아이템을 기반으로 온라인 판매망과 체험 프로그램을 연계해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했다. 이를 통해 일자리 창출과 농산물 소비 확대에 기여하며 농촌 창업의 성과를 입증했다. 특히 그는 청년 유입과 정착을 위한 농촌 체험프로그램과 주거환경 개선 활동도 추진해 지역민은 물론 예비 귀촌인들에게도 긍정적인 모델로 평가되고 있다.

이들 사례는 공통적으로 ‘주민의 자발적 참여와 창의적 아이디어가 지역의 변화를 이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정책과 주민이 만나 완성되는 선순환

이러한 성과는 주민의 노력만으로는 완성되기 어렵다. 농식품부는 다양한 정책으로 마을 단위 혁신을 뒷받침하고 있다. 읍·면 소재지에 생활서비스 거점을 조성하는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 낙후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사업, 폐교·빈집 등 유휴공간을 문화·창업 공간으로 되살리는 유휴시설 활용 사업이다. 특히 올해 새롭게 추진되는 농촌 생활인구 유입 지원 사업은 빈집을 활용한 정주 공간 확충과 농촌 체험·체류 기회를 넓혀 도시민이 단순 방문을 넘어 장기 체류와 정착으로 이어지도록 돕는 정책이다.

이 같은 정부 정책은 마을 주민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결합해 더욱 큰 효과를 낳는다. 정책은 기반을 제공하고, 주민은 콘텐츠를 채워 넣는 선순환 구조가 농촌 발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셈이다.

행복농촌 만들기 콘테스트는 이제 단순한 경진대회를 넘어섰다. 주민 공동체 정신과 정부의 체계적 지원, 전국적 확산 효과가 맞물리며 농촌은 더 나은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오는 9월 17일 과천 한국마사회에서 열리는 제12회 행복농촌 만들기 콘테스트는 ▶농촌만들기 ▶마을만들기▶빈집재생 ▶우수 주민 등 4개 분야에서 진행된다. 단순히 성과를 뽐내는 자리가 아니라, 각지의 경험을 공유하고 확산하는 ‘정책-주민 협력의 플랫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림축산식품부 박성우 농촌정책국장은 “행복농촌 만들기 콘테스트는 주민이 스스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고, 정부 정책이 이를 뒷받침하는 대표적인 농정 협력 모델”이라며 “앞으로도 주민 주도 혁신이 전국적으로 확산돼 희망이 실현되는 농촌을 만드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26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