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AI 키워 ‘제조업 르네상스’…정부, 기업·대학 1000여곳과 원팀 됐다
-
8회 연결
본문

제조 AX 얼라이언스 공동위원장인 김정관(앞줄 왼쪽 여섯째부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0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제조 AX 얼라이언스(M.AX 얼라이언스)’ 출범식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정부는 내년 예산 편성시 얼라이언스가 제안한 과제를 최우선 반영할 방침이다. 또 국민성장펀드 등 민관 펀드를 활용해 자금을 조달하고, AI 테스트베드와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 등 인프라를 지원한다. [뉴시스]
정부가 제조업 AI(인공지능) 전환, 이른바 AX(AI Transformation)에 속도를 낸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1000여 개 기업·대학·연구기관이 참여하는 초대형 협의체를 꾸려 제조 현장에 AI 확산을 주도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는 10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제조 AX(M.AX) 얼라이언스’를 공동 출범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공동 위원장을 맡아 민관 협력을 이끈다. 김정관 장관은 출범식에서 “1000개가 넘는 대표 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은 제조 AX가 기업 생존의 문제라는 절박함을 반영한 것”이라며 “제조업의 강점을 바탕으로 협력 시너지를 극대화해 2030년까지 제조 AX 1등 국가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최태원 회장도 “과거 제조업의 의존한 수출 주도형 모델이 작동할 가능성이 별로 없어졌다”며 “단순 상품 수출이 아닌 산업을 전 세계에 깔아야 하는 경쟁 상황에서 제조 AI는 꼭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M.AX 얼라이언스’는 10개의 분과로 구성되며, 2030년까지 100조원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산업부는 “한국은 세계 최고의 제조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데 반해 글로벌 경쟁력 갖춘 AI 기업이 부족하고, 제조 기업과 AI 기업 간 협력도 미약한 수준”이라며 “이런 한계 극복하고자 각 얼라이언스에는 업종별 대표 제조 기업과 AI 기업이 함께 참여한다”고 설명했다.
10개 얼라이언스는 ▶AI 팩토리 ▶AI 제조서비스 ▶AI 유통·물류 ▶자율주행차 ▶휴머노이드 ▶자율운항선박 ▶AI 가전 ▶AI 방산 ▶AI 바이오 ▶AI 반도체 등 분과로 구성됐다. 각 분과는 업종별 대표 제조기업과 AI 전문기업, 부품·소재 기업, 대학·연구기관이 참여해 데이터를 공유하고, 공동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AI 팩토리 분과의 경우 LG전자·현대차·포스코·대한항공·SK에너지 등 대기업과 AI 솔루션 기업, 로봇 기업, 학계, 전문가 등이 함께 참여해 2030년까지 AI 팩토리 500개 보급을 목표로 제조 특화 AI 개발에 나선다. 휴머노이드에는 LG전자·삼성전자·두산로보틱스 등이 참여한다. 2029년까지 휴머노이드 양산에 돌입하는 것이 목표다. 현대차·HL만도·현대모비스 등이 중심이 된 자율주행차 분과는 2028년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플랫폼 공급을 목표로 활동한다. 정부는 내년도 산업부 AI 관련 예산을 올해(5651억원)의 두 배 이상인 1조1347억원으로 증액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