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폭파협박, 다음 타깃은 초등학교?...부산 학교 대응 골머리

본문

17578271718343.jpg

찰특공대원이 탐지견과 함께 폭발물을 수색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인 변호사 명의로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팩스를 학교에 보내는 협박 사건이 잇따르면서 부산 일선 학교가 대응에 골머리를 앓는다. 지난달 말 고교 2곳, 이달 중학교 8곳에 이 팩스가 와 수천 명이 대피했다. 고교ㆍ중학교에 이어 다음엔 초등학교를 노린 범행이 우려돼 어린 자녀를 둔 학부모 불안이 커진다.

高 2곳→中 곳… 다음은 초등학교?

14일 부산시교육청과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부산지역 학교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팩스는 지난달 29일부터 날라오기 시작했다. 이날 팩스를 받은 건 부산 동구와 남구에 있는 고등학교 2곳이며, 모두 ‘타사키로 카라사와’라는 일본인 변호사 명의였다고 한다.

17578271720621.jpg

지난달 2일 부산 고등학교 2곳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내용의 팩스가 들어와 경찰과 소방이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 부산경찰청

경찰특공대와 소방관 등 인력 150여명이 투입돼 학교를 수색하는 동안 학생과 교직원 1100명이 인근 교회 등으로 몸을 피했다. 수색 결과 실제 폭발물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8일 하루 동안엔 부산 소재 중학교 8곳이 같은 내용의 팩스를 받았고, 수색 결과 거짓 협박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고교 2곳에 이어 중학교 8곳으로 범행 대상이 확대된 사실이 알려지며 교사와 학부모들 사이에선 “다음 대상은 초등학교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교육청 관계자는 “초등학생은 대피 과정에서 중·고교생보다 더 큰 두려움과 혼란을 느낄 수 있다”며 “일선 학교를 대상으로 대응 매뉴얼을 전파했다. 내부적으론 연간 2회 실시하는 재난 대피훈련 강화 필요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거짓 뻔한데 대피해야 하나” 대응도 혼란  

전국에서 유사 사건이 잇따르며 이 팩스 내용이 거짓이라는 인식이 굳어지는 가운데 학교에선 학생과 교직원이 대피해야 할지 판단하기도 쉽지 않다. 교육부 ‘학교현장 재난유형별 교육훈련 매뉴얼’은 이런 테러 관련 상황 발생 때 ‘내용이 확인되면 즉시 경찰에 신고하고 경찰 지시에 따라 학생과 교직원을 건물 밖으로 대피 조치’하라고 규정한다.

17578271722799.jpg

지난달 2일 부산 고등학교 2곳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내용의 팩스가 들어와 경찰과 소방이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 부산경찰청

8건의 팩스 협박이 집중됐던 지난 8일 이들 학교 가운데 6곳은 대피하고, 1곳은 학생을 집으로 돌려보냈다. 1곳은 수색을 병행하며 수업을 진행했다. 부산시교육청 관계자는 “학교마다 팩스 내용을 확인한 뒤 관할 경찰서에 신고했고, 대피 등 조치는 경찰 안내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신고를 받는 시점에선 경찰도 이런 협박의 진위를 판단하기 어렵다. (대피 결정을) 경찰 안내에 따르라는 매뉴얼엔 문제가 있어 보인다”며 “미성년자가 많은 학교의 특성을 생각하면 내용 확인 즉시 교장 등 판단에 따라 우선 대피하고, 이후 신고해 사실 여부를 확인하는 게 더 바람직해 보인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1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