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국정자원 나흘째 현장감식…경찰, '전원 차단 여부' 집중 조사
-
3회 연결
본문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 사고와 관련, 경찰이 당시 현장 책임자를 소환 조사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국과수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30일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사고를 수사 중인 전담수사팀은 전날 오후 사고 당시 현장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교체 작업을 관리하던 국정자원 소속 관리자급 직원을 소환 조사했다. 경찰은 이 직원을 대상으로 전원 차단 여부와 정확한 작업자 수, 사고 직후 대처 상황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했다. 배터리 이동 과정에서 작업자들이 매뉴얼을 제대로 지켰는지도 확인했다. 이런 규정을 지키지 않으면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으로 기관(국정자원)과 관리자가 처벌을 받게 된다.
국정자원 배터리 이동작업 책임자 소환
일부에서 제기된 ‘전원을 끄지 않고 작업을 진행했다’는 의혹과 관련, 경찰은 실제로 작업 전 전원 차단이 이뤄졌는지를 조사 중이다. 국정자원 측은 사고 직후 “사고 당시 전원을 차단한 뒤 40분쯤 지나 불꽃이 튀었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와 관련,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소방청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근거로 ‘배터리 전원이 최초 신고 2시간 42분 뒤인 오후 11시2분에야 차단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소방 관계자는 "11시 2분에 차단됐다는 것은 건물 전체 전원 차단을 의미하는 것이고, 배터리 차단은 작업 전에 이뤄졌다"고 반박했다. 배터리 전원 차단은 2차 폭발과 연소 확산을 막기 위한 선제적 조치다.
경찰 관계자는 “지난 27일 1차 조사를 벌인 외부업체 소속인 현장 작업자 7명을 추가로 불러 당시 상황을 조사할 방침”이라며 “관리 책임을 맡고 있는 국정자원 직원도 순차적으로 소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사고 당시 화상을 입어 전문병원에서 치료를 중인 작업자에 대한 조사도 준비 중이다. 현재 이 작업자는 생명에는 지장이 없지만, 외부인과의 면담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호중 장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 방문 (서울=연합뉴스) 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를 방문해 국가 전산망 운영체계 등 안전 관리시설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소방 등으로 구성된 합동감식반은 이날 오전 10시30분부터 현장에서 4차 감식을 진행 중이다. 감식반은 1차 때부터 조사한 정확한 발화 지점을 확인하고 화재가 발생한 5층 전산실에 대한 3D 스캔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과 영상으로 분석하기 어려운 현장 모습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다. 폭발 원인으로 추정되는 리튬이온 배터리 6개 가운데 안전성이 확보된 3개를 29일 오후 국과수로 보낸 합동감식반은 나머지 3개 배터리의 잔류 전기 등을 확인한 뒤 30일 중으로 추가 정밀감식을 의뢰할 계획이다.
발화 추정 배터리 6개 국과수 정밀감정
경찰 관계자는 “현장감식을 통해 확보한 증거물 가운데 안전하다고 판단된 것들은 국과수로 보내 정밀감정을 의뢰했다”며 “폭발 원인으로 추정되는 배터리에 대한 감식, 직원에 대한 추가 조사를 통해 정확한 사고 원인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직접 영향을 받은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이전 복구하는 데 약 4주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