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北 역대 최대 규모 열병식 준비 정황...김정은은 탈고립 외교행보도

본문

bt13d2938cbe6f20e54b4d2622500f481d.jpg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9일 평양 5월1일경기장에서 열린 노동당 창건 80주년 경축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조선로동당 만세'가 끝난 뒤 엄지를 치켜들며 만족을 표시하고 있다. 조선중앙TV 캡처, 연합뉴스

북한이 10일 노동당 창건 80주년 기념해 진행하는 행사의 하이라이트인 열병식은 역대 최대 규모인 4만여 명을 동원해 야간에 개최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초 정부는 9일에서 10일로 넘어가는 자정(0시)에 '심야 열병식'이 열릴 것으로 전망했지만, 북한은 9일 주요 외빈들을 초청한 전야제 성격의 경축행사를 진행한 뒤 열병식은 진행하지 않았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이날 출입기자단과 만나 "장비나 미사일 등을 동원해 예행연습을 하고 있어 야간에 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면서도 "기만과 과장에 능한 집단이라 섣불리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앞서 북한이 평양 김일성 광장 인근에서 미사일과 이동식발사대(TEL) 등을 동원한 열병식과 대규모 카드 섹션을 연습하는 동향을 포착했다.

bt9a2704704779e552f1c7ac56af042fe1.jpg

북한이 2023년 2월 8일 건군절(인민군 창건일) 75주년을 기념해 김일성광장에서 열병식을 개최하는 모습.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열병식 일정에는 날씨 변수가 작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기상청 날씨누리에 따르면 평양 지역에는 이날 오후 늦게까지 약한비가 내렸다. 북한은 10년 전인 2015년 노동당 창건 70주년 열병식 당시에도 우천으로 인해 오전에 계획했던 열병식을 오후 3시경에 시작한 바 있다.

북한은 이번 열병식에서 사실상 핵보유국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대미, 대남용 신형 전략무기를 두루 과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북한이 "다음 세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라고 밝힌 '화성-20형'의 전체 형상을 공개할 공산이 크다. 북한은 김정은의 방중 직전인 지난달 2일 다탄두(MIRV)로 추정되는 '화성-20형'의 탄두부를 공개했는데, 군 당국은 북한이 '최종 완결판 ICBM'이라고 주장한 '화성-19형'보다 작고 추진력은 강화한 ICBM 형태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btaddec32dd2e609a7fbfadd3cfba5858d.jpg

노동신문은 5일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5'가 지난 4일 수도 평양에서 성황리에 개막했다"라고 보도했다. 신문이 공개한 사진에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9형과 북극성-6로 추정되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KN-23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에 극초음속활공체를 탑재한 화성-11마 등의 최신 무기의 모습이 담겨있었다. 노동신문, 뉴스1

앞서 북한은 지난 4일에 개막한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5'를 통해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XA', '북극성-XB' 2종을 공개했다. 수직발사관(VLS)에 탑재해 핵공격 잠수함 또는 핵추진 잠수함에 장착하려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전문가들 사이에선 수중 핵 공격 능력을 과시한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전시회에선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을 개량한 '화성-11마'도 처음 공개했다. 기존 형상에 글라이더 형태의 극초음속 활공체 추정 탄두부를 장착한 모습이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당창건 80주년 행사를 계기로 사회주의 진영외교에도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전통적인 우방국인 중국과 러시아는 물론 행사 참석을 위해 평양을 방문한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통룬 시술릿 라오스 국가주석과도 양자회담을 했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북한이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공세적인 외교전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bt78e0f2ce7a8cc5ef4b0048082342affa.jpg

노동신문은 10일 국무위원장이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당 및 정부 대표단을 인솔하고 우리 나라를 공식 친선방문하고 있는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이며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인 리강(리창) 동지를 접견하고 친선적인 담화를 나눴다"고 보도했다. 노동신문, 뉴스1

북한 관영매체에 따르면 김정은은 9일 방북 중인 리창(李强) 국무원 총리와 만나 양국 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조중(북·중) 친선 협조 관계를 시대적 요구에 맞게 더욱 강화 발전 시켜나가는 것은 조선노동당과 공화국 정부의 드팀없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북·중 양국은 지난달 3일 베이징에서 열린 전승절(戰勝節·항일전쟁 및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대회) 행사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초청한 것을 계기로 관계 정상화에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실제로 중국 국가우정국은 이날 SNS(소셜미디어) 공지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차단을 위한 국경봉쇄로 2020년 초부터 중단됐던 북·중 간 육상 운송 우편로(신의주-단둥)가 정식 재개됐다고 발표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74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