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부속전원 차단 안했다, 배터리 충전율도 80%…화재 원인 밝혀지나
-
2회 연결
본문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 당시 부속 전원을 차단하지 않았다는 관계자 진술을 경찰이 확보했다. 또 당시 배터리 충전율은 80%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9일 오후 정부 전산망 대규모 마비 사태로 초비상이 걸린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정문에 경찰차가 비상 대기하고 있다.김성태 객원기자
경찰, 26명 조사해 5명 입건
국가전산망 마비 사태를 가져온 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사고를 수사 중인 대전경찰청은 10일 사고 발생 이후 지금까지 총 26명을 조사해 5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했다고 밝혔다. 입건자는 국정자원 직원 1명과 작업자 4명 등이다.
이와 함께 경찰은 "작업 당시 주 전원(메인 차단기)은 차단했지만, 부속 전원(랙 차단기)은 차단하지 않았다"는 공사 관계자 진술을 확보했다. 경찰은 정확한 차단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감정을 의뢰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원인을 수사 중인 경찰이 2일 오전 9시부터 대전 국정자원과 이번 화재와 관련된 대전지역 3개 업체 등 4개소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간 가운데 무정전 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이관 작업을 맡은 일성계전에서 압수수색을 마친 수사관들이 압수물품을 들고 이동하고 있다. 뉴스1
"다수 직원, 전원 차단 안 해"진술
경찰에 따르면 국정자원 전산실은 외부 전기를 2개 경로로 서버에 공급한다. 한쪽 경로는 서버로 직접 공급하고, 만약 이 전원이 차단되면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무정전·전원장치(UPS)를 통해 서버로 공급한다. 그런데 화재 당시 배터리와 연결된 랙 차단기를 내리지 않았다고 한다. 현장에서 일하던 다수의 업체 직원이 “부속 전원을 차단하지 않았다”는 진술을 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이와 함께 경찰이 확보한 로그 기록상 최초 발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배터리 충전율은 90%로 조사됐다. 경찰은 보정률을 고려하면 실제 충전율은 80% 수준이라는 전문가 진술도 확보했다. 주요 배터리 제조사 매뉴얼에 따르면 배터리를 옮길 때 충전율이 30%이하로 방전시켜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경찰 관계자는 “배터리 충전율이 높을수록 리튬 배터리 화재 피해는 커질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라고 전했다.
이번 화재는 국정자원 5층 전산실의 UPS 리튬이온배터리를 서버와 분리해 지하로 이전하기 위한 배터리 케이블 분리 작업 도중 발생했다. 조사 결과 작업자들은 지난달 26일 오후 7시 9분 배터리 주 전원을 차단했는데, 이로부터 1시간 7분 뒤인 오후 8시 16분 발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전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불에 탄 리튬배터리. 김성태 객원기자
앞서 경찰은 추석 연휴 직전인 지난 2일 약 7시간 동안 국정자원과 관련 업체 3곳 등 4곳을 압수수색을 해 사업계획서와 배터리 로그기록 등 박스 약 9개 분량의 자료를 확보했다. 경찰은 전원 차단 여부를 포함해 작업 적절성 여부를 화재 원인 규명의 중요한 단서로 보고 추석 연휴 기간 내내 확보한 압수물 분석과 확인 작업을 해왔다.
10일 현재 시스템 복구율 30%
경찰 관계자는 "주 전원 이후 부속 전원을 차단하지 않았다는 진술이 나온 만큼 정확한 경위를 정밀감정을 통해 파악할 방침이다"며 "현장에서 회수한 배터리는 분해검사, 동일 기종 배터리 재현실험 등을 통해 화인 규명 수사를 다각도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을 찾아 복구 작업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26일 오후 8시 16분쯤 국정자원 5층 전산실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불이 나 배터리 384개와 서버가 불에 타 행정정보시스템 등 정부 전산시스템 709개가 마비되거나 장애를 겪었다. 10일 낮 12시 기준 217개 서비스가 복구, 시스템 복구율은 30.6%를 나타냈다. 중요도가 큰 1등급 시스템은 전체 40개 중 30개가 정상화돼 75%의 복구율을 보였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