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TSMC·삼성 제치고, 2나노 깃발 먼저 꽂은 인텔...美반도체 전략 결실맺나

본문

bt280e2b63e9c1e631c73e5ddb3c220891.jpg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 클라라에 위치한 인텔 본사. EPA=연합뉴스

인텔이 2나노미터(㎚·10억분의 1m)급 공정이 적용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의 완전 가동을 시작했다. 경영난을 겪던 인텔이 TSMC와 삼성전자 보다 한 발짝 빠르게 2나노 경쟁의 포문을 열면서 반도체 업계는 긴장하고 있다.

인텔은 9일(현지시간) 미국 애리조나주에 있는 팹52 공장의 완전 가동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 공장은 인텔이 야심 차게 도입한 18A(18옹스트롬) 공정이 적용된 곳이다. 1옹스트롬은 0.1나노급으로 반도체의 회선폭을 1.8나노급으로 제조하는 첨단 제조공정이다. 현재 파운드리 공정에서 양산 중인 가장 첨단 공정은 3나노로 TSMC와 삼성전자만이 생산하고 있다. 양사 모두 내년 양산을 목표로 2나노 공정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인텔이 올해가 가기 전에 먼저 양산을 발표한 것이다.

인텔은 “18A가 미국에서 개발되고 제작되는 가장 진보된 반도체 생산 기술”이라면서 “생산량을 늘릴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회사는 이날 18A 공정으로 제작한 새로운 노트북용 프로세서 ‘팬서 레이크’(Panther Lake)도 공개했다. 팬서 레이크는 팹52에서 생산되며, 내년에 출시될 노트북에 탑재된다. 인텔은 또 이 공장에서 18A 공정이 적용된 프로세서를 탑재한 ‘제온 6+’(Xeon 6+) 서버도 구축하고 있다. 이 제품들은 내년 상반기 출시될 예정이다.

휘청하던 인텔, 어떻게?

최근 인텔은 지속된 적자와 경영난에 시달려왔다. 특히 파운드리 부문은 지난 2분기에만 4조원 가까운 순손실을 기록하기도 했다. 2021년 파운드리 사업 재진출을 선언한 뒤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자원을 쏟아부었지만 수익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지난 3월 새로 선임된 립부탄 최고경영자(CEO)는 파운드리 전략을 전면 수정했다. 기존에 우후죽순 늘리려던 해외 공장 건설 프로젝트를 백지화하고 감원을 포함한 고강도의 효율화 방안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도 공정 개발만큼은 집중해 18A의 수율을 끌어올리는데 역량을 쏟았다. 경영난 타개를 위해 미국 정부는 지난 8월 인텔 지분 10%를 인수하고, 엔비디아는 50억 달러 투자를 결정하기도 했다. 이런 조치들이 잇따르면서 18A 공정 개시가 가능했을 거라고 업계는 보고 있다.

인텔은 향후에도 18A 공정 성숙화에 집중할 방침이다. 내년에는 전력당 성능을 8% 끌어올린 개선판 18A-P를 선보이고, 이후 2027년 하이NA 극자외선(EUV) 장비를 사용한 14A에 돌입하겠다는 전략이다.

bt9db0ca973011b885fce65dc0b8ffb353.jpg

립부탄 인텔 CEO. 로이터=연합뉴스

남은 과제는? 

반도체 업계는 인텔의 행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첨단 칩을 자국에서 생산하려는 미국 정부가 인텔에 힘을 실어주고 있기 때문이다. 탄 CEO는 이날 “미국은 항상 인텔의 가장 진보된 연구개발(R&D), 제품 설계 및 제조의 본거지였다”며 “우리가 국내 사업을 확장하고 시장에 새로운 혁신을 가져오면서 이런 유산을 이어 나가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며 미국 정부와 한 몸임을 강조했다.

인텔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실제 외부 고객의 수주를 통해 기술력을 입증해야 하는 과정은 남았다. 미국 정부 정책에 빅테크 기업들이 발맞추면서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가 이미 인텔 18A 공정을 사용하기로 계약을 한 상황이다. 하지만, 아직 성능을 입증하지 못한 상황에서 추가적인 외부 고객사를 확보하기는 쉽지 않다고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지난 7월에는 탄 CEO가 18A 수주 활동을 중단하고 14A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는 방안을 고려한다는 외신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이날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발표 따르면 2분기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1위 TSMC가 71%, 2위 삼성전자가 8%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분기에 비해 양사의 격차는 4%포인트 더 벌어졌다. 3위는 중국의 SMIC와 대만 UMC가 5%, 글로벌파운드리가 4%로 4위 차지했다. 인텔의 점유율은 따로 집계되지 않았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30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