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내란특검, ‘표결 방해’ 의혹 추경호 국감 이후 소환 전망…‘신중 모드’
-
2회 연결
본문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달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재부·금융위 조직 개편안 토론회 : 개편인가 개악인가?'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받는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 조사가 국정감사 일정을 마친 뒤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이 야당 탄압이라며 수사에 강경한 태도를 보이자 참고인 조사, 공판 전 증인신문 등에 공들이면서 소환 일정에 신중히 접근하는 모양새다.
14일 당직자 조사…‘국감’ 변수
10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오는 14일 국민의힘 당직자인 이건용 원내대표실 국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할 계획이다. 특검팀은 국민의힘 당직자 3명과 추석 연휴 이후인 이달 셋째~넷째 주로 조사 일정을 조율해왔다. 이 국장은 12·3 비상계엄 당일 밤 추경호 당시 원내대표와 국민의힘 당사에서 국회 본청으로 함께 이동해 원내대표실에 머무른 인물이다.
비상계엄 당일 국민의힘 원내행정국에서 근무하면서 추 의원으로부터 전달받은 의원총회 장소를 ‘원내 알림’ 형태의 문자 메시지로 전파한 실무 직원, 원내대표실에 추 의원과 함께 있던 다른 당직자에 대해서도 조만간 참고인 조사를 할 예정이다. 특검팀은 현재까지 국민의힘 의원 6명에 대한 조사를 마쳤다.
특검팀은 법원에 청구한 공판 전 증인신문 대상자들의 진술 확보도 추 의원 조사 전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김태호·김희정·서범수·김용태 국민의힘 의원은 모두 공판 전 증인신문 기일에 출석하지 않아 오는 15~23일 추가 기일이 잡혀있다. 법원은 소환에 불응한 증인에게 과태료를 부과하거나 구인 영장을 발부할 수 있다.
현역 국회의원을 상대로 한 조사인 만큼 오는 13일부터 시작하는 국정감사 역시 변수로 작용한다. 정무위원회 소속인 추 의원은 국정감사에 성실히 참여해야 할 의무가 있다. 정무위 국정감사는 오는 28일 종합감사를 끝으로 종료된다. 국감 기간 중 특검팀의 출석요구서 통지가 있더라도 일자 조율 등을 통해 실제 소환은 국감 이후에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특검 “10월 말에도 소환 통지 가능”
추 의원에 대한 소환 통지는 아직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특검팀 관계자는 “공판 전 증인신문이 진행되는 걸 본 뒤 통지가 이뤄질 것 같다”며 “10월 말에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국감 기간 중이라도 소환 조사를 배제하고 있지 않지만, 추 의원 측에서는 “통지가 오면 그때 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이다.
특검팀은 추 의원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뜻에 따라 비상계엄 당일 의총 장소 변경 등을 통해 계엄 해제 요구안 표결 참여를 지연·방해했다고 의심한다. 추 의원은 “국민의힘 의원 누구에게도 계엄 해제 표결 불참을 권유한 적이 없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