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연봉 1억 넘는 유튜버 4000명 돌파, 2년 만에 64% 증가

본문

bt9f4999e64a8a1d6df77f8ca94e07829b.jpg

유튜브 등으로 억대 수익을 내는 1인 미디어 창작자가 빠른 속도로 늘면서 4000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2021∼2023년 귀속분 유튜버 수입’ 자료에 따르면 총 수입금액이 1억원을 초과하는 유튜버는 2023년 귀속 기준 4011명으로 집계됐다.

억대 유튜버는 2021년 2449명에서 2022년 3359명으로 늘어난 뒤 2023년 4000명을 넘겼다. 2년 만에 63.8% 증가했다. 남성은 2088명, 여성은 1923명이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가장 많았다. 남성 30대는 1065명으로 전체(2088명)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이어 40대 513명, 30세 미만은 308명 순이었다. 여성에서도 30대가 896명으로 53.4%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30세 미만은 772명이었고, 40대는 171명으로 집계됐다.

유튜버 수입 신고를 한 전체 인원은 2023년 2만4673명으로 집계됐다. 2021년 1만6228명에서 52% 늘었다. 전체 수입금액은 같은 기간 1조782억4200만원에서 1조7778억3800만원으로 64.9% 불었다.

해당 통계는 주업종이 ‘1인미디어콘텐트창작자’ 이거나 ‘미디어콘텐트창작업’을 영위하는 자의 소득을 기준으로 했다. 유튜브, 아프리카TV, 트위치 등에 영상 콘텐트를 공유해 수익을 창출하는 유튜버, 크리에이터, 인터넷방송 진행자(BJ) 등이 포함된다.

유튜버들은 단순 광고 수익뿐 아니라 후원금, 협찬(PPL), 굿즈 판매 등으로 돈을 번다. 수익 구조가 복잡하다 보니 과세 사각지대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국세청은 지난해 억대 수익을 올리고도 세금을 내지 않은 유튜버 21명을 적발해 총 89억원의 세금을 부과했다. 한 명당 부과 세액이 평균 4억2000만원 이상이다.

차 의원은 “업종이 다양화하고 매년 신고 인원과 수입 금액도 증가하고 있다”며 “국세청은 후원금 등을 빙자해 제대로 된 신고를 하지 않는 유튜버들의 탈루 혐의 포착 시 세무조사를 하겠다고 밝힌 만큼 과세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단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29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