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24억 CT로 유물 진단…반세기 숙원 ‘문화재 종합병원’ 문 열었다

본문

bt01dab02c7599e73037c163bac39b4327.jpg

보존과학센터 개관식이 열린 28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관계자들이 서화 세척작업을 하고 있다. 뉴스1

낡은 책상에 이쑤시개·핀셋·현미경·접착제로 시작해 24억원짜리 최첨단 CT(컴퓨터 단층 촬영) 장비를 갖춘 ‘문화재 종합병원’으로-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센터 개관 #총 44만점 유물 진단·분석·복원 담당 #"AI 활용해 보존처리 속도 높일 것"

국립중앙박물관(서울 용산구)이 28일 용산 이전 20주년을 맞아 숙원이던 ‘보존과학센터’를 개관했다. 상설전시관 동북쪽 부지에 연면적 9196㎡ 규모로 들어선 센터는 기존의 보존과학부가 확장·개편한 형태로 총 44만점에 이르는 박물관 수장품의 보존처리를 전담하게 된다. 1976년 체계적인 장비나 지식도 없이 박물관 학예실 한쪽 방에서 시작된 유물 복원이 반세기 만에 천지개벽급으로 탈바꿈했다.

이날 열린 언론공개회에선 1층 특별전 ‘보존과학, 새로운 시작 함께하는 미래’(내년 6월30일까지)가 눈길을 끌었다. 보존과학의 50년 여정을 돌아보는 이 전시에선 특히 한국 문화재(문화유산) 1세대 보존과학자 이상수(1946~1998) 실장의 헌신과 열정을 1부 ‘보존과학자의 방’에 담아냈다.

btac2c9576aa1256212245861d7a16804d.jpg

국립중앙박물관(서울 용산구)이 28일 용산 이전 20주년을 맞아 ‘보존과학센터’를 개관했다. 사진은 박물관 소속 1세대 보존과학자 이상수(1946~1998) 선생이 경주 황남대총 남분 출토 봉황모양 유리병(국보)을 보존처리 중인 모습.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bt3109ed3f5867d58d706d962a20bf7731.jpg

국립중앙박물관이 28일 용산 이전 20주년을 맞아 보존과학센터를 개관한다고 밝혔다. 보존과학센터는 박물관 소장품을 위한 '종합병원' 같은 곳이다. 사진은 1980년대 보존기술실 당시 모습.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핀셋과 현미경, 미세붓으로 고군분투하며 감은사지 삼층석탑 사리외함(보물), 황남대총 남분 출토 봉황모양 유리병(국보) 등을 손질하는 흑백사진이 뭉클하게 다가온다. 아래 유리 진열대엔 이 실장이 자필로 꼼꼼히 남긴 수십년 간의 ‘보존처리 기록카드’도 선보인다.

한쪽 벽면엔 그가 남긴 ‘보존처리자의 계명’이 소개돼 있다. ^장인의 입장에서 당시 장인처럼 작업한다 ^작업 전 작업 내용과 결과를 충분히 검토한다 ^복원에 왕도는 없으므로 순리대로 진행한다(1995년 강의 노트 중에서).

2부 ‘빛으로 보는 보존과학의 세계’에선 초분광 분석을 통해 6세기 고구려 개마총 고분 벽화를 다양한 파장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흐릿해지기 전 원래 모습을 재현하는 과정 등을 소개했다.

3부 ‘보존과학이 열어가는 새로운 미래’에서는 1924년 경주 식리총 출토 금동신발을 3D 스캔, CT, 현미경 등으로 분석하고 잔편들을 토대로 100년 만에 완전한 형태로 복원한 재현품을 처음 공개했다.

bt6971a98d95af814ac5183f68da038435.jpg

28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존과학센터 토기ㆍ자기실 관계자가 고온 스팀 세척을 하고 있다. 센터는 국립중앙박물관 용산 이전 20주년을 맞아 개관했다. 연합뉴스

bt18038c8fd271a96c36adc5d5e28de2fc.jpg

보존과학센터 개관식이 열린 28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관계자들이 목재실에서 목재불상 건식세척작업을 하고 있다. 뉴스1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구성된 보존과학센터는 각 유물을 재질별(서화·목재·석재·금속 등)로 전담 인력이 보존처리할 수 있게 구분·배치했다. 이밖에도 지방 혹은 해외박물관과 실시간 소통하며 유물을 살필 수 있는 스마트 원격진단실, 유물의 형태를 3차원으로 분석하는 3D 형상분석실 등을 갖췄다.

국중박은 보존과학센터 개관을 앞두고 지난해 소장품 전수조사를 마쳤다. 총 44만점 가운데 보존처리를 요하는 유물은 약 8만점(18%)으로 파악됐으며 이 가운데 처리 후 전시에 바로 활용 가능한 A등급은 1만여점으로 분류됐다. 1976년부터 현재까지 보존처리한 누적 유물 숫자는 3만6000여점이다.

btbb948cce6c7cbc563bc7a85a0b5076d2.jpg

국립중앙박물관이 28일 용산 이전 20주년을 맞아 보존과학센터를 개관한다고 밝혔다. 박물관 측은 센터 개관을 기념해 내년 6월까지 센터 1층 전시실에서 '보존과학, 새로운 시작 함께하는 미래'를 주제로 한 특별전을 선보일 예정이다. 1924년 경주 식리총에서 출토된 금동신발 디지털 재현품도 처음으로 공개한다. 사진은 식리총 출토 금동신발 측면의 남은 조각(왼쪽)과 재현품.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bt23e9ef1169d19198236a5d60935745c6.jpg

국립중앙박물관(서울 용산구)이 28일 용산 이전 20주년을 맞아 ‘보존과학센터’를 개관했다. 지하 1층, 지상 3층에 연면적 9196㎡ 규모로 총 44만점에 이르는 박물관 수장품의 보존처리를 전담하게 된다.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천주현 보존과학부장은 “매년 850점 안팎을 보존처리하고 있는데, 속도를 높이기 위해선 전문인력 충원이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보존처리한 유물 데이터를 인공지능(AI)으로 활용해 앞으로는 관련 분석이 더 빨라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내비쳤다.

유홍준 관장은 “보존과학센터란 게 사람으로 따지면 아픈 환자를 고치는 ‘문화재 종합병원’ 같은 곳”이라고 하면서 “K컬처 위상이 높아지면서 해외 박물관들이 소장한 문화재를 보존처리해달라는 요청이 끊이질 않고 있다. 부족한 인력을 충원해 이 같은 수요에 대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1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