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회담 불발' 때문?…美, 국무부 이어 재무부도 北 추가 제재
-
7회 연결
본문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재무부가 4일(현지시간) 북한의 사이범 범죄 수익 자금 세탁에 관여한 북한 국적자 8명과 북한에 소재한 기관 2곳을 제재 대상에 추가했다.

북한 국기를 배경으로 화면에 이진 코드가 표시된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전날 국무부가 유엔 대북 제재 위원회를 통해 북한산 석탄과 철강의 대중국 수출에 관여한 제3국 선박을 제재하기로 요청하는 데 이은 조치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이 불발된 직후 대북 제재를 집중시키고 있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이날 사이버 범죄와 정보기술(IT) 노동자 사기 등 북한의 불법 공작을 통해 발생한 자금 세탁에 관여한 개인 8명과 기관 2곳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제재 대상에 포함된 북한 국적의 장국철과 허정선은 암호화폐 530만 달러를 포함한 자금을 관리했고, 일부는 과거 미국을 표적으로 삼았던 북한 랜섬웨어 조직과 연계된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 소재 IT 기업인 조선만경대컴퓨터기술회사와 회사 대표인 우영수는 중국 선양과 단둥 등 최소 2곳에 IT 인력 파견 조직을 운영했고, 금융기관 류정신용은행은 제재 회피 활동을 위한 금융 지원 활동을 했다. 또 허용철, 한홍길, 정성혁, 최춘범, 리진혁 등 중국 또는 러시아에 기반을 둔 북한 금융기관 대표자들은 이미 제재 대상인 북한의 북한 금융기관을 대신해 자금 송금 등에 관여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5월 8일 진행된 장거리포 및 미사일체계 합동타격훈련을 지도했다고 당 기관지 노동신문인 9일 보도했다. 뉴스1
이날 제재 대상이 된 개인 및 기관은 미국 내 모든 자산이 동결되고, 이들과의 미국 내 거래도 금지된다.
재무부에 따르면 지난 3년간 북한과 연계된 사이버 범죄자들은 30억 달러(약 4조3000억원) 이상을 탈취했다. 이들은 주로 암호화폐를 표적으로 삼았고 때로는 진화된 악성코드 등 첨단 수법을 사용했다.

2018년 미 국무부가 공개한 북한 선박들의 불법 환적(옮겨싣기) 모습 장면. 미 국무부
앞서 미 국무부는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를 위반해가며 북한산 석탄·철광석의 대중국 수출에 관여한 제3국 선박 7척에 대해 유엔 제재 대상 지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제재 시점이 북·미 정상회담 불발 직후와 겹치는 점에 대해 국무부 관계자는 “봄부터 사안을 들여다보고 있었다”며 “특별한 연관성은 없다”고 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