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경찰 이어 검찰도 수사 전담팀 구성..."안전 관리 부실 여부 조사"

본문

bte2c4bf0dc65c2ea621a214855261056a.jpg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사흘째인 8일 오전 119 구조대 차량이 발전소 후문을 통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찰에 이어 검찰도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이하 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전담수사팀을 구성하는 등 수사가 본격화되고 있다.

울산지검은 발전소 타워 붕괴 사고와 관련해 전담수사팀을 구성했다고 8일 밝혔다. 전담 수사팀은 공공수사 전담부서(형사 제5부) 소속 검사와 수사관 등 10명으로 구성됐다. 울산지검은 인명피해가 다수 발생한 사고 중대성을 고려해 중대 재해 수사 관련 전문성을 보유한 검사와 수사관들로 사고 직후 전담 수사팀을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울산지검은 산업안전중점검찰청이다.

울산지검 관계자는 “향후 경찰, 고용노동부 등 유관기관과 긴밀하게 협조해 구체적인 사고 발생 경위와 책임 관계 등을 신속·엄정하게 수사하고 유족 등 피해자 지원에도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하루 전인 7일에는 울산경찰청이 70명 규모의 수사전담팀을 구성하고 사고 원인과 안전관리 부실 여부에 대한 수사에 들어갔다.

btfc1c3d6f1b06967b7ddbfa1877187507.jpg

7일 오후 울산 남구 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현장에서 소방대원이 매몰자 수색 및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뉴스1

이번 사고는 지난 6일 울산 남구에 있는 발전소에서 해체 중이던 높이 60m 보일러 타워가 붕괴하면서 발생했다. 보일러 타워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물을 끓이는 철골 구조물이다. 사고 당시 타워는 오는 16일 폭파를 앞두고 하부에 대한 취약화 작업을 마친 상태였다. 취약화 작업은 구조물을 무너뜨리기 쉽게 기둥과 지지대 등을 미리 잘라내는 작업이다.

사고 당시 영상을 보면 타워는 한쪽 기둥이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무너져 내리면서 붕괴했다. 이번에 매몰된 작업자들 상당수는 높이 약 25m 지점에서 작업을 하다 변을 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하부 취약화 작업을 마친 상태에서 상부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맞느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찰과 검찰은 작업자들이 사고 당시 타워 내부에서 어떤 작업 중이었는지를 정확히 확인할 계획이다.

경찰은 또 국가수사본부, 고용노동부 등 유관기관과 협조해 철거 과정의 안전관리 체계, 위험성 평가 이행 여부, 발파 자격 보유 여부 등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

btfe4dc9d43894cefa202e6a66674d22f3.jpg

7일 오후 울산 남구 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현장에서 소방대원이 매몰자 수색 및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뉴스1

한편 이번에 사고가 발생한 보일러 타워는 안전 대책을 세워 지자체로부터 철거 허가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이 아니라 ‘공작물’로 분류돼 사실상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 남구 관계자는 "사고 보일러 타워는 건축물관리법 대상이 아니어서, 철거 작업 전 별도의 해체계획서나 안전계획서 등을 지자체에 제출하지 않았다"며 "이와 별도로 같은 발전소 부지에 있던 본관(터빈동)은 지난해 9월 철거계획서를 업체에서 제출해 11월 해체 허가를 한 사실이 있다"고 말했다. 공작물은 굴뚝, 장식탑, 철탑 같은 구조물을 의미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29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