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대본엔 그 장면이 없었다…19세 신인 여배우 삶 무너뜨린 그 영화
-
0회 연결
본문

1972년 제작된 영화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 촬영 현장을 재현한 장면에서 아나마리아 바르톨로메이가 마리아 슈나이더 역할을 맡아 열연했다. 사진 찬란

1972년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의 촬영 현장을 재현한 영화 '나의 이름은 마리아'. 사진 찬란
16세에 배우가 된 미모의 소녀. 3년간 조연으로 전전하던 그가 19세가 되었을 때 한 영화 감독이 근사한 제안을 해온다. 무명인 그에게 자신의 영화 주연을 맡기겠다는 것. 심지어 상대 남자 배우는 당대 최고 배우 중 한 명인 말론 브랜도다. 감독은 그녀에게 이렇게 말했다. "로맨스 영화다. 누드 신도 찍는다. 하지만 최대한 예술적으로 찍을 거다···." 당시 미성년자인 그는 제작사와 계약할 때 어머니 서명을 받아야 했지만, 걱정보다는 꿈에 부풀었다. 그러나 이후에 벌어진 일들은 걷잡을 수 없이 그의 삶을 뒤흔들어 놓았다. 그의 이름은 마리아 슈나이더. 영화는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1972)였다.
1972년 영화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 #주연 맡은 배우 마리아 슈나이더의 삶 #영화 뒤 야망과 이기심. 권력과 착취 그려
26일 개봉하는 영화 '나의 이름은 마리아(Being Maria)'는 영화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의 이면, 그동안 세상이 주목하지 않았던 마리아 슈나이더(아나마리아 바르톨로메이)의 실제 이야기를 그린다. 2018년 슈나이더의 사촌 바네사 슈나이더가 쓴 회고록 『나의 사촌 마리아 슈나이더』를 바탕으로 제시카 팔뤼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다시 영화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로 돌아가 보자. 시나리오는 사실상 단순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중년의 남성 폴(말론 브랜드)과 젊은 여성 잔느(마리아 슈나이더)가 우연히 만나 불륜 관계를 맺는 이야기다. 슈나이더는 이름 있는 감독과 경험이 풍부하고 노련한 남자 배우를 믿으며 그는 하루 14시간 촬영이라는 강행군도 마다치 않았다. 그러나 어느 날 자신의 의지와 전혀 상관없이 대본에 없던 장면이 촬영됐고, 그때 느낀 굴욕감은 그가 평생 떨쳐내지 못할 상처가 됐다.

영화 '나의 이름은 마리아'의 한 장면. 아나마리아 바르톨로메이가 주연을 맡았다. 사진 찬란
영화는 슈나이더가 영화계에 들어서며 촬영 현장에서 일어난 일들을 섬세하게 그린다. 봉준호 감독의 영화 '미키 17'에 출연했던 바르톨로메이는 앳되면서도 고혹적인 외모, 군더더기 없는 연기로 옛날 영화의 주인공 잔느와 현실에서 배우의 꿈을 실현해가는 슈나이더의 경계를 넘나든다. 감독은 문제의 장면을 피하지도 않고 담담하게 재현했다. 자칫하면 관음증적 시선을 충족시키는 작품을 재생산한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음에도 그는 기록 영화처럼 촬영 현장을 재현해 50여 년 후의 관객 앞에 들이민다.
슈나이더는 충격과 불편함, 두려움, 수치심에 몸을 떨고, 이전에 몰랐던 진실을 마주하는 관객은 충격과 고통을 떨치기 어렵다.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 뒤에 이런 사건이 있었다니. 문제는 이 논란의 장면을 촬영한 베르톨루치 감독과 남자 주연배우 브랜도가 슈나이더에게 사과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영화는 이후 슈나이더의 삶을 계속 그리며 그녀의 트라우마가 어떻게 곪아가는지 보여준다.
슈나이더를 캐스팅하기 위해 설득하며 "너만이 가진 자질을 끌어내라" "하나도 숨기지 마라" "네 자신을 내려놔라"고 했던 베르톨루치 감독의 달콤한 말들은 요즘 시선으로 돌이켜 보면 '그루밍 성폭력'에 가까워 보인다. '예술'을 빙자해 '연기 아닌 연기'를 주문했던 감독, 그리고 이에 공조했던 남자 배우는 폭력적이었고, 50여 년 전 신예 여성 배우 슈나이더는 속수무책이었다.
영화는 아름답고 또 불편하다. 권력과 착취, 영화(계)에서의 여성의 지위(인권) 등 여러 겹의 문제 의식을 담고 있지만, 관객으로서 바르톨로메이를 따라다니는 우리 자신의 시선까지 되돌아보게 한다. 태생적으로 영화는 '보는' 주체와 '보이는' 대상과의 권력 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다. '나의 이름은 마리아'를 보며 우리 시선이 영화 속 비극의 주인공 슈나이더를 핑계로 배우 바르톨로메이의 아름다움을 소비하는 것은 아닐까. 영화라는 예술은 무엇인가. 그동안 스크린의 안과 밖에서 여성의 위치는 얼마나 달라졌을까. 마리아가 던지는 질문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15세 이상 관람가.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