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로아 ‘대마수’ 일본 후생노동성 임상 DB 등재

본문

bt1f168cc72d0334f8437ffa1ca3347523.jpg

(좌로부터; 서기완 대표, 로아 유영일 대표, 류마티스임상의사 야수히토 미카와 의학박사, 일본선진의료임상연구회 위원장 무라카미 야스후미 교수, 일본선진의료임상연구회 이사장 고바야시히데오) 사진제공: ㈜로아바이오

로아의 자사제품 대마수(DAEMASU 한국 종실차)가 치매(알츠하이어), 류머티스 관절염에 대한 의료임상으로 2025년 5월 1일 일본 후생노동성(MHLW-일본 FDA)임상 DB에 공식적으로 등재되었으며, 관련 임상에서의 유효성 평가내용을 2025년 11월 19일 일본 후생노동성 미디어룸에서 공식 발표하였다.

이 자리에는 일본선진의료임상연구회 위원장인 무라카미 야스후미교수, 일본 류마티스의 권위자 미카와 야스히토 교수, 일본정부와 공동으로 치매 대응책을 연구하고 있는 사토 토시히코 교수, 일본선진의료임상연구회 고바야시 이사장, 로아 유영일 대표, 후생노동성 출입기자 등이 참석하였다.

임상을 진행한 사토 교수와 미카와 교수는 각 병원의 치료 프로토콜에 따른 유효성 평가과정에서 환자들이 부작용이 없이 빠른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는 입증자료를 발표하였으며, 약학박사인 무라카미 교수는 관련 작용 기전 자료를 발표하였다.

btc2c3ed2cde3ad821cde483f15fd31af1.jpg

(좌로부터 서기완 대표, 로아 유영일 대표, 류마티스 임상의사 야수히토 미카와 의학박사, 일본선진의료임상연구회 위원장 무라카미 야스후미 교수, 일본선진의료임상연구회 이사장 고바야시 히데오) 사진자료제공: ㈜로아바이오

일본은 2024년도부터 대마원료로 의약품을 만들 수 있게 허용하였으며, 여러 제약회사들이 관련 제품의 개발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일련의 상황들로 인해 2025년 6월부터 기존에 유통되고 있던 대마의 주성분인 CBD 및 THC 계열의 성분을 포함한 제품에 대한 농도규제를 0.1ppm 기준을 충족하도록 하였고 이로 인해 이를 충족시키지 못한 관련 의약품은 관련 제품의 유통이 중지된 상태이다.

그러한 가운데 국내제품 대마수는 관련 기준을 통과하였고 의료임상에서의 유효성평가를 발표하며 일본 의료 및 제약계의 지대한 관심을 받고 있다.

btcc326d58388a5bbd7997f8d737274b51.jpg

㈜로아바이오 (사진설명: 기자회견이 열린 일본 후생노동성 전경)

로아(LOA)는 자회사 ㈜로아바이오와 함께 농업 바이오 분야를 개척하고 있으며, ㈜로아바이오팜은 일본의 OMR(전세계에서 유일한 무병원성 항원과 면역법 기술 보유)과 공동으로 로타바이러스 및 인수공통감역 조류독감에 대응하는 항체생산을 진행 중이며 현재 관련 항체의 양산화를 준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20년 경북 안동에 대마특구를 지정한 것을 기점으로 이후 여러지역에서 관련 연구와 제품개발을 진행중이며, 의료용 대마성분 의약품 국내 제조생산의 허용에 대해서는 아직 정부 관련부처의 논의가 진행중인 단계다.

로아의 연구개발 제품의 일본진출은 국내 대마산업의 방향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312 건 - 1 페이지